|
전철의 신학동네 | http://theology.co.kr
Über die Kreativität in PR
전 철
Zusammenfassung von Chun Chul
Alfred North Whitehead
Process and Reality - An Essay in Cosmology
(New York : Free Press, 1978)
Prozeß und Realität. Entwurf einer Kosmologie. Übers. H.-G. Holl
(Frankfurt : Suhrkamp, 1979)
과정과 실재 - 유기체적 세계관의 구상, 오영환 역 (서울 : 민음사, 1991)
7. In all philosophic Theory there is an ultimate which is actual in virtue of its accidents. It is only then capable of characterization through its accidental embodiments, and apart from these accidents it devoid of actuality. In the philosophy of organism this ultimate is termed ‘Creativity’; and God is its primordial, non-temporal accident. In monistic philosophies, Spinoza’s or absolute idealism, this ultimate is God, who is also equivalently termed ‘The Absolute.’ In such monistic schemes, the ultimate is illegitimately allowed a final, ‘eminent’ reality, beyond that ascribed to any of its accidents. In this general position the philosophy of organism seems to approximate more to some strains of Indian, or Chinese, thought, than to western Asiatic, or European, thought. One side makes process ultimate ; the other side makes fact ultimate.
38. In jeder philosophischen Theorie gibt es ein Elementares, das vermöge seiner Akzidenzien wirklich ist. Es kann dann nur durch seine akzidentellen Verkörperungen charakterisiert werden, und abgesehen von diesen Akzidenzien kommt ihm keine Wirklichkeit zu. In der organistischen Philosophie wird dieses Elementare »Kreativität« genannt ; und Gott ist sein uranfängliches, unzeitliches Akzidens. In monistischen Philosophien – etwa in der Spinozas oder im absoluten Idealismus – ist dieses Elementare Gott, der entsprechend auch als »das Absolute« bezeichnet wird. In solchen monistischen Systemen wird dem Elementaren ohne Rechtfertigung eine entscheidende, höchste Realität jenseits derer eingeräumt, die all seinen Akzidenzien zukommen soll. Hinsichtlich dieses allgemeinen Grundsatzes scheint sich die organistische Philosophie eher einigen Strömungen des indischen oder chinesischen Denkens anzunähern als dem westasiatischen oder europäischen Denken. Für die eine Seite ist der Prozeß elementar, für die andere das Tatsächliche.
56. 무릇 철학이론에는 우유성에 힘입어 현실적인 것이 되는, 어떤 궁극자가 존재한다. 그것은 오직 그 우유적인 것들의 구현을 통해서만 그 특성이 규정될 수 있는 것인데, 그러한 우유성으로부터 단절될 때 그것은 현실성을 잃게 된다. 유기체의 철학에서는 이런 궁극자를 가리켜 창조성이라고 부른다. 그리하여 신은 그것의 원초적인 비시간적 우유성이다. 스피노자의 철학이나 절대적 관념론 등의 일원적 철학에서는 이런 궁극자가 신이며, 이와 동등한 의미에서 <절대자>라고도 불린다. 그러한 일원론적 도식에 있어서는 궁극자 속에, 우유성에 돌려야 할 것을 초월하는 최종적인 어떤 <탁월한> 실재성이 부당하게 허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일반적 관점에서 본다면 유기체의 철학은 서아시아나 유럽의 사상보다는 인도나 중국의 사상의 기조에 더 가까운 것으로 생각된다. 후자 쪽에서는 과정을 궁극자로 보는데, 전자 쪽에서는 사실을 궁극자로 보고 있다.
20. In other words, philosophy is explanatory of abstraction and not of concreteness. It is by reason of their instinctive grasp of this ultimate truth that, in spite of much association with arbitrary fancifulness and atavistic mysticism, types of Platonic philosophy retain their abiding appeal ; they seek the forms in the facts. Each fact is more than its forms, and each form ‘participates’ throughout the world of facts. The definiteness of fact is due to its forms ; but the individual fact is a creature, and creativity is the ultimate behind all forms, inexplicable by forms, and conditioned by its creatures.
60. Die Philosophie erklärt also das Abstrakte und nicht das Konkrete. Allein wegen ihres Gespürs für diese elementare Wahrheit behalten einige Spielarten der platonischen Philosophie ihre beständige Anziehungskraft, obwohl sie häufig an willkürliche Phantasterei und atavistische Mystik erinnern: Sie suchen die Formen in den Fakten. Jede Tatsache ist mehr als ihre Formen, und jede Form »hat teil« an der gesamten Welt der Tatsachen. Die Abgegrenztheit einer Tatsache beruht auf ihren Formen; aber die einzelne Tatsache ist ein Geschöpf, und Kreativität liegt allen Formen elementar zugrunde, kann nicht durch Formen erklärt werden und ist allein an ihren Geschöpfen zu erkennen.
76. 달리 말하면 철학은 추상에 대하여 설명하는 것이 구체에 대하여 설명하는 것이 아니다. 흔히 독단적 공상과 격세유전적 신비주의를 연상시킴에도 불구하고 플라톤적 유형의 철학이 지속적인 호소력을 지니는 까닭은, 그것이 이러한 궁극적 진리를 본능적으로 파악했다는 데에 있는 것이다. 그러한 철학은 사실 속에 들어 있는 형상을 탐구한다. 사실은 저마다 그 형상 이상의 것이며, 각 형상은 어느 곳에서나 사실의 세계에 관여하고 있다. 사실의 한정성은 그 형상의 탓으로 돌려야 한다. 그러나 개체적인 사실은 창조된 것이다. 그리고 창조성은 모든 형상의 배후에 있는 궁극적인 것으로서, 형상으로는 설명될 수 없고 그것이 만들어내는 여러 창조물에 의해 제약되어 있다.
21. 'creativity,' 'many,' 'one' are the ultimate notions involved in the meaning of the synonymous terms 'thing,' 'being,' 'entity.' These three notions complete the category of the Ultimate and are presupposed in all the more special categories.
61. ›Kreativität‹, ›viele‹ und ›eins‹ sind die elementaren Begriffe, die in der Bedeutung der synonymen Termini ›Ding‹, ›Seiendes‹ und ›Einzelwesen‹ mitschwingen. Diese drei Begriffe füllen die Kategorie des Elementaren aus und liegen all den spezielleren Kategorien zugrunde.
77. 창조성, 다자, 일자는 동의어인 사물, 있는 것, 존재의 의미 속에 포함되어 있는 궁극적인 개념이다. 이 세 개의 개념은 궁극자의 범주를 완결지음과 동시에, 보다 특수한 모든 범주의 전제가 되고 있다.
21. 'creativity' is the universal of universals characterizing ultimate matter of fact. It is that ultimate principle by which the many, which are the universe disjunctively, become the one actual occasion, which is the universe conjunctively. It lies in the nature of things that the many enter into complex unity.
'creativity' is the principle of novelty. An actual occasion is a novel entity diverse from any entity in the 'many' which it unifies. Thus 'creativity' introduces novelty into the content of the many, which ate the [32] universe disjunctively. The 'creative advance' is the application of this ultimate principle of creativity to each novel situation which it originates.
'Together' is a generic term covering the various special ways in which various sorts of entities are 'together' in any one actual occasion. Thus 'together' presupposes the notions 'creativity ' 'many ' 'one ' 'identity' and 'diversity.' The ultimate metaphysical principle is the advance from disjunction to conjunction, creating a novel entity other than the entities given in disjunction. The novel entity is at once the togetherness of the 'many' which it finds, and also it is one among the disjunctive 'many' which it leaves; it is a novel entity. disjunctively among the many entities which it synthesizes. The many become one, and are increased by one. In their natures. entities are disjunctively 'many' in process of passage into conjunctive unity. This category of the Ultimate replaces Aristotle's category of 'primary substance.'
62. ›Kreativität‹ ist die Universalie der Universalien, die den elementaren Sachverhalt charakterisiert. Aufgrund dieses elementaren Prinzips werden die vielen, die das Universum als trennendes verkörpern, zu dem einen wirklichen Ereignis, in dem sich das Universum als verbindendes darstellt. Es liegt in der Natur der Dinge, dass sich die vielen zu einer komplexen Einheit verbinden.
›Kreativität‹ ist das Prinzip des Neuen. Ein wirkliches Ereignis ist ein neues Einzelwesen, das sich von jedem unter den ›vielen‹ unterscheidet, die es vereinigt. Daher führt die ›Kreativität‹ etwas Neues in die Natur der vielen ein, die das Universum als trennendes verkörpern. Das ›kreative Fortschreiten‹ ist die Anwendung dieses elementaren Prinzips der Kreativität auf jede Situation, die es hervorbringt.
›Gemeinsam‹ ist ein allgemeiner Terminus, der sich auf die vielfältigen besonderen Weisen bezieht, in denen verschiedene Arten von Einzelwesen ›gemeinsam‹ in einem wirklichen Ereignis vorkommen. Daher setzt ›gemeinsam‹ die Begriffe ›Kreativität‹, ›viele‹, ›eins‹, ›Identität‹ und ›Verschiedenheit‹ voraus. Das elementare metaphysische Prinzip ist das Fortschreiten von der Getrenntheit zur Verbundenheit. Das neue Einzelwesen verkörpert zugleich die Gemeinsamkeit der ›vielen‹, die es vorfindet, und ist auch eins ein neues Einzelwesen, das sich getrennt unter den vielen befindet, die es synthetisiert. Die vielen werden eins und werden um eins vermehrt. Ihrer Natur nach sind die Einzelwesen getrennt ›viele‹, die einen Prozeß des Übergangs in verbindende Einheit durchlaufen. Diese Kategorie des Elementaren ersetzt Aristoteles’ Kategorie der ›ersten Substanz‹.
78. <창조성>은 궁극적인 사태를 특징지우는 보편자들의 보편자이다. 그것은 이접적 방식의 우주인 다자를, 연접적 방식의 우주인 하나의 현실적 계기로 만드는 궁극적 원리이다. 다자가 복잡한 통일 속으로 들어간다는 것은 사물의 본성에 속한다.
<창조성>은 <새로움>의 원리이다. 현실적 계기는 그것이 통일하고 있는 <다자>에 있어서의 어떠한 존재와도 다른, 새로운 존재이다. 그러므로 <창조성>은 이접적인 방식의 우주인 다자의 내용에 새로움을 도입한다. <창조적 전진>이란 그 원리가 그 창조성이 만들어내는 각각의 새로운 상황에 적용되는 것을 말한다.
<공재적>이란, 여러 종류의 존재가 임이의 한 현실적 계기 속에 공재하는 여러 특수한 방식을 포괄적으로 가리키는 일반적인 술어이다. 따라서 공재적이란 개념은, <창조성>, <다자>, <일자>, <동일성>, <다양성>의 개념들을 전제하고 있다. 궁극적인 형이상학적 원리는 이접적으로 주어진 존재들과는 다른 또 하나의새로운 존재를 창출해 내는, 이접에서 연접으로의 전진이다. 이 새로운 존재는 그것이 찾아내는 <다자>의 <공재성>인 동시에, 또한 그것이 뒤에 남겨 놓는 이접적인 <다자> 속의 일자이기도 하다. 즉 그것은, 그 자신이 종합하는 많은 존재들 가운데 이접적으로 자리하게 되는 새로운 존재인 것이다. 다자는 일자가 되며 그래서 다자는 하나만큼 증가된다. 존재들은 그 본성상 접합적 통일로 나아가는 과정에 있어서는 이접적인 <다자>인 것이다. 이 궁극적인 것의 범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제1실체>라는 범주를 대체한다.
26. (xxiv) The functioning of one actual entity in the self-creation of another actual entity is the 'objectification' of the former for the latter actual entity. The functioning of an eternal object in the self-creation of an actual entity is the 'ingression' of the eternal object in the actual entity. (xxv) The final phase in the process of concrescence, constituting an actual entity, is one complex, fully determinate feeling. This final phase is termed the 'satisfaction.' It is fully determinate (a) as to its genesis, (b) as to its objective character for the transcendent creativity, and (c) as to its prehension positive or negative of every item in its universe.
70. (xxiv) Die Wirkungsweise eines wirklichen Einzelwesens in der Selbsterschaffung eines anderen ist seine ›Objektivierung‹ in diesem anderen. Die Wirkungsweise eines zeitlosen Gegenstandes in der Selbsterschaffung eines wirklichen Einzelwesens ist sein ›Eintreten‹.
(xxv) Die letzte Phase in dem Konkretisierungsprozeß der ein wirkliches Einzelwesen begründet, ist ein komplexes, vollständig bestimmtes Empfinden. Diese letzte Phase wird ›Erfüllung‹ genannt. Sie ist vollständig bestimmt (a) hinsichtlich ihrer Genese, (b) hinsichtlich ihrer objektiven Bedeutung für die transzendente Kreativität und (c) hinsichtlich ihres – positiven oder negativen – Erfassens jeder Einzelheit in ihrem Universum.
85. xxiv) 하나의 현실적 존재가 다른 현실적 존재의 자기 창조에 있어서 기능한다는 것은, 전자가 후자의 현실적 존재에 대하여 <객체화>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실적 존재의 자기 창조에 있어서 영원적 객체의 활동은, 현실적 존재에로의 영원적 객체의 <진입>이다.
xxv) 현실적 존재를 구성하는 합생 과정의 마지막 위상은, 완전히 결정된 하나의 복합적 느낌이다. 이 마지막 위상은 <만족>이라 불린다. 그것은 (a) 그 발생과 관련하여, (b) 그 초월적 창조성에 대한 객체적 성격과 관련하여, 그리고 (c) 그 우주의 모든 항목 하나하나에 대한 – 긍정적 내지 부정적인 – 파악과 관련하여 완전히 결정되어 있다.
29. This repudiation directly contradicts Kant's 'First Analogy of Experience' in either of its ways of phrasing ( Ist or 2nd edition). In the philosophy of organism it is not 'substance' which is permanent, but 'form.' Forms suffer changing relations; actual entities 'perpetually perish' subjectively, but are immortal objectively. Actuality in perishing acquires objectivity, while it loses subjective immediacy. It loses the final causation which is its internal principle of unrest, and it acquires efficient causation whereby it is a ground of obligation characterizing the creativity.
Actual occasions in their 'formal' constitutions are devoid of all indetermination. Potentiality has passed into realization. They are complete and determinate matter of fact, devoid of all indecision. They form the ground of obligation. But eternal objects, and propositions, and some more complex sorts of contrasts, involve in their own natures indecision. They are, like all entities, potentials for the process of becoming. Their ingression expresses the definiteness of the actuality in question. But their own natures do not in themselves disclose in what actual entities this potentiality of ingression is realized. Thus they involve indetermination in a sense more complete than do the former set.
76. Diese Zurückweisung widerspricht direkt Kants ›Erster Analogie der Erfahrung‹ in ihren beiden Darstellungsweisen (1. oder 2. Auflage). In der organistischen Philosophie gilt nicht die ›Substanz‹ als dauerhaft, sondern die ›Form‹. Formen unterliegen sich ändernden Relationen ; wirkliche Einzelwesen ›vergehen stetig‹, wenn man sie unter dem Aspekt der Subjektivität betrachtet ; aber objektiv sind sie unsterblich. Die Wirklichkeit erlangt im Vergehen Objektivität, verliert jedoch ihre subjektive Unmittelbarkeit. Sie verliert die Zweckverursachung, ihr inneres Prinzip der Unruhe, und gewinnt dafür die Wirkverursachung, die eine Grundlage der Verbindlichkeit abgibt, aus der die Kreativität ihre Eigenschaften bezieht.
Wirkliche Ereignisse sind ihrer ›formalen‹ Beschaffenheit nach bis ins letzte bestimmt. Potentialität ist in Realisierung übergegangen. Sie sind vollständige und bestimmte Sachverhalte ohne jede Unentschiedenheit und bilden die Grundlage aller Verbindlichkeit. Aber zeitlose Gegenstände, Aussagen und einige komplexere Arten von Kontrasten haben ihrer Natur nach etwas Unentschiedenes. Sie sind, wie alle Einzelwesen, Potentiale für den Prozeß des Werdens. Ihr Eintreten bekundet die Abgegrenztheit der jeweiligen Wirklichkeit. Aber ihre Natur zeigt an sich nicht, in welchen wirklichen Einzelwesen diese Potentialität des Eintretens realisiert wird. Daher sind sie in gewissem Sinne noch unbestimmter als die erste Gruppe von Kategorien der Existenz.
92. 이러한 부정은 칸트의 <경험의 제1유추>(순수이성비판의 제1판과 제2판 가운데 어느 쪽의 표현에서 보더라도)와 직접적으로 모순된다. 유기체의 철학에 있어 영속하는 것은 <실체>가 아니라 <형상>이다. 형상하는 변화하는 관계를 감수한다. 현실적 존재는 주체적으로는 <끊임없이 소멸>되지만 객체적으로는 불멸한다. 현실태는 소멸될 때 주체적 직접성을 상실하는 반면 객체성을 획득한다. 그것은 그 불안정의 내적 원리인 목적인을 상실하지만 작용인을 획득한다. 이 작용인으로 말미암아 그것은 창조성을 특징짓는 제약의 근거가 된다.
현실적 계기는 그 <형상적> 구조에 있어서는 어떠한 미결정성도 갖지 않는다. 가능태는 실현된 것으로 변해 있다. 현실적 계기는 어떠한 미결단성도 지니고 있지 않은 완전한 결정적 사태인 것이다. 그것은 제약의 근거를 형성한다. 그러나 영원적 객체, 명제, 약간의 한층 복합적인 종류의 대비는 그 자신의 본성 속에 미결단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들은 모든 존재가 그렇듯이 생성의 과정에 있어서의 가능태인 것이다. 그것들의 진입은 문제되는 현실태의 한정성을 표현한다. 그러나 그것들 자신의 본성 그 자체만을 놓고 본다면, 거기에는 그러한 진입의 가능태가 어떤 현실적 존재에서 실현될 것인가 하는 것이 드러나 있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그것들은 그 앞의 조에 들어 있는 존재들보다도 어떤 의미에서 더욱 완전한 미결정성을 내포하고 있다.
31. THE primordial created fact is the unconditioned conceptual valuation of the entire multiplicity of eternal objects. This is the 'primordial nature' of God. By reason of this complete valuation, the objectification of God in each derivate actual entity results in a graduation of the relevance of eternal objects to the concrescent phases of that derivate occasion. There will be additional ground of relevance for select eternal objects by reason of their ingression into derivate actual entities belonging to the actual world of the concrescent occasion in question. But whether or no this be the case, there is always the definite relevance derived from God. Apart from God, eternal objects unrealized in the actual world would be relatively nonexistent for the concrescence in question. For effective relevance requires agency of comparison, and agency belongs exclusively to actual occasions. This divine ordering is itself matter of fact, thereby conditioning creativity. Thus possibility which transcends realized temporal matter of fact has a real relevance to the creative advance.' God is the primordial creature, but the description of his nature is not exhausted by this conceptual side of it. His 'consequent nature' results from his physical prehensions of the derivative actual entities (cf. Part v).
79. Die uranfänglich geschaffene Tatsache ist die unbedingte begriffliche Wertung der ganzen Vielheit von zeitlosen Gegenständen. Dies ist die ›Urnatur‹ Gottes. Aufgrund dieser vollständigen Wertung führt die Objektivierung Gottes in jedem abgeleiteten wirklichen Einzelwesen zu einer Abstufung der Relevanz zeitloser Gegenstände für die Konkretisierungsphasen dieses abgeleiteten Ereignisses. Einige ausgewählte zeitlose Gegenstände werden durch ihr Eintreten in abgeleitete wirkliche Einzelwesen, die zu der wirklichen Welt des jeweiligen sich konkretisierenden Ereignisses gehören, eine zusätzliche Grundlage der Relevanz haben. Aber auch wenn dies nicht der Fall ist, gibt es immer die eindeutige Relevanz, die sich von Gott herleitet. Abgesehen von Gott wären die zeitlosen Gegenstände, die nicht in der wirklichen Welt realisiert sind, für die jeweilige Konkretisierung relativ inexistent. Effektive Relevanz setzt nämlich die Vermittlung des Vergleichs voraus, und Vermittlung bleibt ausschließlich den wirklichen Ereignissen vorbehalten. Dieses göttliche Ordnen ist selbst ein Sachverhalt und bedingt daher die Kreativität. Daher hat eine Möglichkeit, die realisierte zeitliche Tatsachen transzendiert, tatsächlich Relevanz für das kreative Fortschreiten. Gott ist das uranfängliche Geschöpf ; aber die Beschreibung seiner Natur erschöpft sich nicht in dieser begrifflichen Seite. Seine ›Folgenatur‹ resultiert aus seinen physisch erfassten Informationen von den abgeleiteten wirklichen Einzelwesen (Vgl. Fünfter Teil).
94. 원초적으로 창조된 사실은 영원적 객체의 다양성 전체에 대한 무제약적인 개념적 가치평가이다. 이것이 신의 원초적 본성이다. 이 완전한 가치평가로 말미암아 개개의 파생적인 현실적 존재에 있어서의 신의 객체화는, 그 파행적인 계기의 합생중에 있는 위상과 영원적 객체와의 관련성의 등급화로 귀착된다. 선택된 영원적 객체가, 합생중에 있는 문제의 계기의 현실세계에 속하는 파생적인 현실적 존재로 진입하기 때문에, 그 영원적 객체가 [합생중에 있는 계기와] 관련성을 맺게 되는 또 하나의 근거가 있게 될 것이다. 하여간 여기는 언제나 신으로부터 도출된 일정한 관련성이 있게 마련이다. 신을 도외시할 경우, 현실세계에서 실현되지 않은 영원적 객체는 문제의 합생에 있어 상대적으로 비존재가 될 것이다. 왜냐하면 현실적 관련은 비교의 작인을 필요로 하며, 작인은 전적으로 현실적 계기에 속하고 있기 때문이다. 신에 의한 이 질서화는 그 자체가 하나의 사태이며, 이것에 의해 창조성을 제약한다. 따라서 실현된 시간적 사태를 초월하는 가능성은 창조적 전진과의 실재적 관련성을 갖게 된다. 신은 원초적인 피조물이다. 그러나 신의 본성에 대한 기술은 그것이 지닌 이와 같은 개념적 측면을 보이는 것만으로 완결되는 것이 아니다. 파생적인 현실적 존재에 대한 신의 물리적 파악에서 신의 결과적 본성이 생겨난다.
31. 'creativity' is another rendering of the Aristotelian 'matter,' and of the modern 'neutral stuff.' But it is divested of the notion of passive receptivity, either of 'form,' or of external relations; it is the pure notion of the activity conditioned by the objective immortality of the actual world--a world which is never the same twice, though always with the stable element of divine ordering. creativity is without a character of its own in exactly the same sense in which the Aristotelian 'matter' is without a character of its own. It is that ultimate notion of the highest generality at the base of actuality. It cannot be characterized, because all characters are more special than itself. But creativity is always found under conditions, and described as conditioned. The non-temporal act of all-inclusive unfettered valuation is at once a creature of creativity and a condition for creativity. It shares this double character with all creatures. By reason of its character as a creature, always in concrescence and never in the past, it receives a reaction from the world; this reaction is its consequent nature. It is here termed 'God'; because the contemplation of our natures, as enjoying real feelings derived from the timeless source of all order, acquires that 'subjective form' of refreshment and companionship at which religions aim. This function of creatures, that they constitute the shifting character of creativity, is here termed the 'objective immortality' of actual entities. Thus God has objective immortality in respect to his primordial nature and his consequent nature. The objective immortality of his consequent nature is considered later (cf. Part v); we are now concerned with his primordial nature.
79. ›Kreativität‹ ist eine andere Darstellung der aristotelischen ›Materie‹ und des modernen ›neutralen Stoffs‹. Aus ihr wird aber die Vorstellung von passiver Rezeptivität, sei es der ›Form‹ oder der äußeren Relationen, getilgt ; sie enthält nur die Vorstellung von der Aktivität, die auf der objektiven Unsterblichkeit der wirklichen Welt beruht – einer Welt, die nie zweimal dieselbe ist, obwohl sie immer über das feste Element des göttlichen Ordnens verfügt. Kreativität hat in genau demselben Sinne keine selbständigen Eigenschaften wie die aristotelische ›Materie‹. Sie ist der elementare Begriff von höchster Allgemeinheit, auf dem Wirklichkeit basiert. Sie kann nicht charakterisiert werden, da alle Eigenschaften spezieller sind als sie. Aber Kreativität wird immer unter Bedingungen vorgefunden und als bedingt beschrieben. Der nicht-zeitliche Akt allumfassender, ungefesselter Wertung ist zugleich ein Produkt der Kreativität und deren Bedingung. Diesen Doppelcharakter teilt er mit allem Erschaffenen. Aufgrund seiner Eigenschaft als Erschaffenes, das sich immer im Prozeß der Konkretisierung und niemals in der Vergangenheit befindet, erfährt er eine Reaktion der Welt ; diese Reaktion ist seine Folgenatur. Sie wird hier als ›Gott‹ bezeichnet, weil das Eingedenken unserer Naturen, indem wir reale, von der zeitlosen Quelle aller Ordnung abgeleitete Empfindungen haben, die ›subjektive Form‹ von Erfrischung und Kameradschaft annimmt, auf die alle Religionen hinzielen.
Diese Funktion des Erschaffenen, den sich verschiebenden Charakter der Kreativität zu begründen, wird hier die ›objektive Unsterblichkeit‹ der wirklichen Einzelwesen genannt. Daher ist Gott seiner uranfänglichen und seiner folgerichtigen Natur nach objektive unsterblich. Die objektive Unsterblichkeit seiner Folgenatur wird später untersucht (Vgl. Fünfter Teil) ; hier wollen wir uns mit seiner Urnatur beschäftigen.
95. <창조성>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질료> 및 근대의 <중성적 질료>를 달리 표현한 것이다. 그러나 이 술어에는 <형상>이라든지 외적 관계와 같은 것에 대한 수동적 수용성의 관념이 들어 있지 않다. 그것은 현실세계 – 항상 신에 의해 질서화된 안정적 요소를 갖는다고는 하나, 결코 두 번 다시 동일한 것일 수는 없는 세계 – 의 객체적 불멸성에 의해 제약되는, 순수 활동의 관념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질료>가 그 자신의 성격을 갖지 아니한 것과 전적으로 동일한 의미에서 창조성은 그 자신의 성격을 갖지 않는다. 그것은 현실태의 근저에 있는 최고의 일반성을 지닌 궁극적 관념이다. 성격이란 것이 모두 그것보다 특수하기 때문에, 그것은 어떤 성격으로도 특징지어질 수 없다. 창조성은 항상 여러 제약 속에서 발견되며, 제약된 것으로 기술된다. 모든 것에 미칠 뿐만 아니라 그 어떤 것에 의해서도 구속받지 않는 가치평가라는 비시간적 행위는 창조성에 의한 피조물인 동시에 창조성을 위한 조건이 되고 있다. 이 행위는 그러한 이중적 성격을 다른 모든 피조물과 함께 공유하고 있다. 피조물로서의 성격 때문에 그것은 세계로부터 반작용을 받아들이지만, 그것은 항상 합생에 있어서 그러한 것이지, 결코 과거에 있어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이 반작용이 그 행위의 결과적 본성이다. 이것은 여기서 <신>이라고 불린다. 왜냐하면 모든 질서의 초시간적 원천에서 유래하는 실재적인 느낌을 향유할 때, 우리의 본성에 대한 관저는 종교가 지향하고 있는 신선함과 친교라는 저 <주체적 형식>을 획득하기 때문이다.
피조물은 창조성의 변화하는 성격을 구성하고 있는데, 피조물의 이러한 기능은 여기서 현실적 존재의 <객체적 불멸성>이라 불린다. 따라서 신은 신의 원초적 본성과 결과적 본성에 있어서 객체적 불멸성을 갖는다. 신의 결과적 본성의 객체적 불멸성에 대해서는 나중에(제 5부 참조) 검토된다.우리는 지금 신의 원초적 본성을 문제삼고 있다.
32. Appetition is immediate matter of fact including in itself a principle of unrest, involving realization of what is not and may be. The immediate occasion thereby conditions creativity so as to procure, in the future, physical realization of its mental pole, according to the various valuations inherent in its various conceptual prehensions. All physical experience is accompanied by an appetite for, or against, its continuance: an example is the appetition of self-preservation. But the origination of the novel conceptual prehension has, more especially, to be accounted for. Thirst is an appetite towards a difference towards something relevant, something largely identical, but something with a definite novelty. This is an example at a low level which shows the germ of a free imagination.
81. Streben ist eine unmittelbare Tatsache, die ein Prinzip der Unruhe enthält, zu dem auch die Realisierung dessen gehört, was noch nicht ist, aber sein kann. Dadurch bedingt das unmittelbare Ereignis die Kreativität, um die physische Realisierung seines geistigen Pols, übereinstimmend mit den verschiedenen Wertungen, die in seinen begrifflich erfassten Informationen liegen, in der Zukunft zu ermöglichen. Alle physische Erfahrung wird von einem Streben für oder gegen ihr Andauern begleitet : ein Beispiel hierfür bildet der Selbsterhaltungstrieb. Aber die Entstehung des neuen begrifflichen Erfassens muss auf ganz spezielle Weise erklärt werden. Durst ist ein Sterben nach einer Differenz – nach etwas Relevantem, etwas weitgehend Identischem, aber nach etwas mit einer bestimmten Neuheit. Damit haben wir auf niedriger Ebene ein Beispiel, das auf dem Keim einer freien Phantasie hinweist.
97. 욕구란 지금은 없지만 있게 될지도 모르는 것의 실현을 수반하는 불안정의 원리를 자기 자신 속에 간직하고 있는 직접적인 사태이다. 이것에 의해 직접적 계기는, 여러 개념적 파악에 본질적으로 내재해 있는 다양한 가치 평가에 따라, 미래에 있어 그 정신적인 극의 물리적 실현을 달성하기 위해 창조성을 제약한다. 모든 물리적 경험에는 그것을 지속시키려고 하거나 지속시키지 않으려고 하는 욕구가 수반되어 있다. 자기 보존의 욕구는 그 한 예가 된다. 그러나 새로운 개념저 파악의 성립에 관해서는 보다 깊이 있는 설명이 필요하다. 갈증은 차이에 대한 – 관련된 어떤 것, 대체로 동일한 어떤 것, 그러나 뚜렷한 새로움을 갖는 어떤 것에 대한 – 욕구이다. 이는 자유로운 상상력의 발아를 보여주는 낮은 차원의 한 예가 된다.
32. In what sense can unrealized abstract form be relevant? what is its basis of relevance? 'Relevance' must express some real fact of togetherness among forms. The ontological principle can be expressed as: All real togetherness is togetherness in the formal constitution of an actuality. So if there be a relevance of what in the temporal world is unrealized, the relevance must express a fact of togetherness in the formal constitution of a non-temporal actuality. But by the principle of relativity there can only be one non-derivative actuality, unbounded by its prehensions of an actual world. Such a primordial superject of creativity achieves, in its unity of satisfaction, the complete conceptual valuation of all eternal objects. This is the ultimate, basic adjustment of the togetherness of eternal objects on which creative order depends. It is the conceptual adjustment of all appetites in the form of aversions and adversions. It constitutes the meaning of relevance. Its status as an actual efficient fact is recognized by terming it the 'primordial nature of God.'
81. In welchem Sinne kann eine unrealisierte, abstrakte Form relevant sein? Worin besteht die Grundlage der Relevanz? ›Relevanz‹ muss eine reale Tatsache der Gemeinsamkeit zwischen Formen ausdrücken. Das ontologische Prinzip lässt sich folgendermaßen formulieren : Alle reale Gemeinsamkeit ist die Gemeinsamkeit in der formalen Beschaffenheit einer Wirklichkeit. Wenn man also von einer Relevanz dessen sprechen will, was in der zeitlichen Welt nicht realisiert ist, muss sie eine Tatsache der Gemeinsamkeit in der formalen Beschaffenheit einer nicht-zeitlichen Wirklichkeit ausdrücken. Nach dem Prinzip der Relativität kann es aber nur eine nicht-abgeleitete Wirklichkeit geben, die nicht durch ihre erfassten Informationen von einer wirklichen Welt begrenzt ist. Ein solches uranfängliches Superjekt der Kreativität erreicht in seiner Einheit der Erfüllung die vollständige begriffliche Wertung aller zeitlosen Gegenstände. Dies ist die elementare, grundlegende Abstimmung der Gemeinsamkeit vom zeitlosen Gegenständen, auf der die kreative Ordnung beruht. Es ist die begriffliche Abstimmung aller Strebungen in Form von Abneigung und Zuneigung. Es begründet die Bedeutung von Relevanz. Sein Status als eine wirkliche, wirkende Tatsache kommt in der Bezeichnung als die ›Urnatur Gottes‹ zum Ausdruck.
97. 어떤 의미에서 아직 실현되지 않은 추상적 형상이 관련될 수 있는 것인가? 그러한 관련성의 토대는 대체 무엇인가? <관련성>은 여러 형상간의 공재성이라는 어떤 실재적인 사실을 반드시 표현해야 한다. 존재론적 원리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즉 모든 실재적 공재성은 현실태의 형상적 구조 내에서의 공재성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시간적 세계에서 실현되지 않은 것과의 관련성이 있다면, 그 관련성은 무시간적 현실태의 형상적 구조에서의 공재성을 나타내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상대성의 원리에 따라, 현실적 세계에 대한 자신의 파악에 의해 제약되지 않는 비파생적인 현실태는 오직 하나가 있을 수 있을 뿐이다. 창조성의 이와 같은 원초적인 자기 초월체는 그 만족이라는 통일성에 있어서, 모든 영원적 객체에 대한 완전한 개념적 평가를 달성한다. 이것은 창조적 질서가 의존하는 영원적 객체들의 공재에 대한 궁극적이고도 기본적인 조정이다. 그것은 혐오나 역작용이라는 형식에 의한 모든 욕구의 개념적 조절이다. 그것은 관련성의 의미를 구성한다. 현실적으로 작용하는 사실로서의 그 지위는, 그것을 <신의 원초적 본성>이라고 명명할 때 분명해지게 된다.
43. The ontological principle asserts the relativity of decision; whereby every decision expresses the relation of the actual thing, for which a decision is made, to an actual thing by which that decision is made. But 'decision' cannot be construed as a casual adjunct of an actual entity. It constitutes the very meaning of actuality. An actual entity arises from decisions for it, and by its very existence provides decisions for other actual entities which supersede it. Thus the ontological principle is the first stage in constituting a theory embracing the notions of 'actual entity,' 'givenness,' and 'process.' lust as 'potentiality for process' is the meaning of the more general term 'entity,' or 'thing'; so 'decision' is the additional meaning imported by the word 'actual' into the phrase 'actual entity.' 'Actuality' is the decision amid 'potentiality.' It represents stubborn fact which cannot be evaded. The real Internal constitution of an actual entity progressively constitutes a decision conditioning the creativity which transcends that actuality. The castle Rock at Edinburgh exists from moment to moment, and from century to century, by reason of the decision effected by its own historic route of antecedent occasions. And if, in some vast upheaval of nature, it were shattered into fragments, that convulsion would still be conditioned by the fact that it was the destruction of that rock. The point to be emphasized is the insistent particularity of things experienced and of the act of experiencing. Bradley's doctrine 8 Wolf-Eating-Lamb as a universal qualifying the absolute is a travesty of the evidence. That wolf eat that lamb at that spot at that time: the wolf knew it; the lamb knew it; and the carrion birds knew it. Explicitly in the verbal sentence, or implicitly in the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entertaining it, every expression of a proposition includes demonstrative elements. In fact each word, and each symbolic phrase, is such an element, exciting the conscious prehension of some entity belonging to one of the categories of existence.
116. 존재론적 원리는 결단의 상대성을 주장한다. 여기서 결단의 상대성이란, 그것에 대해서 결단이 내려지는 현실적 사물과 그것에 의해서 결단이 내려지는 현실적 사물과의 관계를 표현하는 말이다. 그러나 <결단>이 현실적 존재의 일시적인 부속물과 같은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그것은 현실태 그 자체의 의미를 이루고 있다. 현실적 존재는 그것을 위해 주어진 여러 결단에서 생겨나며, 바로 그 자신의 현존에 의해, 그것 다음에 오는 현실적 존재들을 위한 결단을 제공한다. 따라서 존재론적 원리는 <현실적 존재>와 <소여성> 및 <과정>의 개념을 포괄하는 하나의 이론을 구성함에 있어 첫단계가 된다. <과정을 위한 가능태>가 <존재>라든지 <사물>과 같은 일반적 용어의 의미가 되듯이, <결단>은<현실적>이라는 말이 <현실적 존재>라는 표현 속에 끌어들인 부가적 의미가 된다. <현실태>란 <가능태>의 한복판에서의 결단이다. 그것은 피할 수 없고 굽힐 수 없는 엄연한 사실을 나타낸다. 현실적 존재의 실재적인 내적 구조는, 현실태를 초월하는 창조성을 제약하는 결단을 구성해 나아간다. 에딘버러 성곽의 벽돌은, 그 자신의 역사적 경로에 있어 선행하는 여러 계기에 대해 내려진 결단에 근거하여 순간순간 존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세기에 걸쳐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만일 어떤 자연의 거대한 대변동으로 말미암아 그것이 산산조각난다고 하더라도, 그 대격변은 그것이 그 암석의 파괴였다는 사실에 의해 여전히 한정될 것이다. 강조해야 할 점은 경험되는 사물과 경험하는 행위의 집요한 특수성이다. 브래들리의 학설 – 즉 늑대가 어린 양을 잡아먹는 것을, 절대자를 규정하는 하나의 보편자로 간주하는 – 은 이 분명한 사실에 대한 곡해이다. 그 늑대는 그 양을 그 시간 그 지점에서 잡아먹었다. 그 늑대는 그것을 알고 있었고, 그 어린 양도 그것을 알고 있었다. 그리고 독수리도 그것을 알고 있었다. 명제의 모든 표현은, 그것이 문장으로 표현된 경우에는 명시적으로, 그리고 그것을 머릿속에서 생각하고 있는 주체의 이해 가운데서는 은연중에 지시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사실상 하나하나의 말과 하나하나의 상징적 표현은 존재의 어느 한 범주에 속하는 어떤 존재에 대한 의식적 파악을 환기시키는 그런 요소인 것이다.
84. Thus the notion of 'order' is bound up with the notion of an actual entity as involving an attainment which is a specific satisfaction This satisfaction is the attainment of something individual to the entity in question. It cannot be construed as a component contributing to its own concrescence; it is the ultimate fact, individual to the entity. The notion of 'satisfaction' is the notion of the 'entity as concrete' abstracted from the process of concrescence ; it is the outcome separated from the process, thereby losing the actuality of the atomic entity, which is both process and outcome. 'Satisfaction' provides the individual element in the composition of the actual entity that element which has led to the definition: of substance as requiring nothing but itself in order to exist.' But the 'satisfaction' is the 'superject' rather than the 'substance' or the 'subject.' It closes up the entity; and yet is the superject adding its character to the creativity whereby there is a becoming of entities superseding the one in question. The 'formal' reality of the actuality in question belongs to its process of concrescence and not to its 'satisfaction.' This is the sense in which the philosophy of organism interprets Plato's phrase 'and never really is'; for the superject can only be interpreted in terms of its 'objective immortality.
184. 따라서 <질서>라는 개념은 특수한 만족이라는 어떤 달성을 내포한 현실적 존재의 개념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 만족은 문제되는 존재에 있어 개체적인 것의 달성을 말한다. 그것은 현실적 존재 자체의 합생에 기여하는 구성 요소라고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그것은 그 존재에 있어 개체적인 궁극적 사실인 것이다. <만족>이라는 개념은 <합생의 과정>으로부터 추상된 <응결체로서의 존재>라는 개념이다. 그것은 과정으로부터 유리된. 그래서 과정인 동시에 결실인 원자적 존재의 현실성을 상실하고 있는 결과물이다. <만족>이 제공해 주는 것은 그 현실적 존재의 구성에 있어서의 개체적 요소 – <존재하기 위해서 그 자신 이외에 아무것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으로 실체를 정의하게 했던 저 요소 – 이다. 그러나 <만족>은 <실체>나 <주체>라기보다는 오히려 <자기 초월체>이다. 그것은 그 존재를 마감한다. 그러면서도 그것은 문제의 존재에 대체되는 존재들의 생성을 가능케 하는 창조성에 그 자신의 특성을 부과하는 자기 초월체이다. 문제의 현실태가 갖는 <형상적> 실재성은 그 합생 과정에 속하며 <만족>에 속하지 않는다. 유기체의 철학은 <결코 참으로 존재하는 법이 없다>라는 플라톤의 말을 이러한 의미로 해석한다. 왜냐하면 자기 초월체는 그 <객체적 불멸성>에 의해서만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85. 'Satisfaction' is a generic term: there are specific differences between the 'satisfactions' of different entities, including gradations of intensity. These specific differences can only be expressed by the analysis of the components in the concrescence out of which the actual entity arises. The intensity of satisfaction is promoted by the 'order' in the phases from which concrescence arises and through which it passes; it is enfeebled by the 'disorder.' The components in the concrescence are thus 'values' contributory to the 'satisfaction'. The concrescence is thus the building up of a determinate 'satisfaction,' which constitutes the completion of the actual togetherness of the discrete components. The process of concrescence terminates with the attainment of a fully determinate 'satisfaction'; and the creativity thereby passes over into the 'given' primary phase for the concrescence of other actual entities. This transcendence is thereby established when there is attainment of determinate 'satisfaction' completing the antecedent entity. Completion is the perishing of immediacy": 'It never really is. '
185. <만족>이라는 말은 유적인 술어이다. 다양한 등급의 강도를 포함하고 있는 상이한 존재들의 만족들 사이에는 특수한 차이가 있다. 이들 특수한 차이는, 현실적 존재가 생겨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한 분석에 의해서 표현될 수 있을 뿐이다. 만족의 강도는, 합생이 생겨나고 통과하는 여러 위상에 있어서의 질서에 의해 강화되고, <무질서>에 의해 약화된다. 따라서 합생의 구성 요소들은 <만족>에 기여하는 가치들이다. 이런 식으로 합생은 흩어져 있는 구성 요소들을 현실적인 공재성으로 완성식키는 결정적 만족을 구축해 간다. 이 합생의 과정은 완전히 결정적인 <만족>의 달성으로 종결된다. 또한 그럼으로써 창조적은 다른 현실적 존재의 합생을 위해 <주어진> 최초의 위상으로 넘어간다. 이 초월은 선행하는 존재를 완결시키는 결정적인 <만족>이 달성될 때 확립된다. 완결은 직접성의 소멸이다. <그것은 결코 참으로 존재하는 법이 없다>.
85. No actual entity can be conscious of its own satisfaction; for such knowledge would be a component in the process, and would thereby alter the satisfaction. In respect to the entity in question the satisfaction can only be considered as a creative determination, by which the objectifications of the entity beyond itself are settled In other words the satisfaction of an entity can only be discussed in terms of the usefulness of that entity. It is a qualification of creativity. The tone of feeling embodied in this satisfaction passes into the world beyond, by reason of these objectifications. The world is self-creative; and the actual entity as self-creating creature passes into its immortal function of part-creator of the transcendent world. In its self-creation the actual entity is guided by its ideal of itself as individual satisfaction and as transcendent creator. The enjoyment of this ideal is the 'subjective aim,' by reason of which the actual entity is a determinate process.
185. 어떠한 현실적 존재도 그 자신의 만족을 의식하지는 못한다. 왜냐하면 그럴 경우 그와 같은 인식은 그 과정의 구성 요소가 될 것이고 또 그렇게 됨으로써 만족을 변경시키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문제의 그 존재를 놓고 본다면 지금 말한 만족은, 그 존재를 넘어서서 그 존재 자체를 객체화시키는 하나의 창조적 결정으로서만 고찰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한 존재의 <만족>은그 존재의 유용성의 견지에서만 논의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것은 창조성의 제약 조건이다. 이 만족 가운데에서 구현되는 느낌의 색조는 이와 같은 객체화를 통해서 초월적 세계로 옮겨간다. 세게는 자기 창조적이다. 그리고 자기 창조적인 피조물로서의 현실적 존재는 초월적 세계의 공동 창조자라는 불멸적인 기능으로 바뀐다. 자기 창조에 있는 현실적 존재는 개체적 만족과 초월적 창조자로서의 자신의 이상에 의해 인도된다. 이러한 이상을 향유하는 것이 <주체적 지향>이며, 이 때문에 현실적 존재는 하나이 결정적인 과정이 되고 있는 것이다.
87. The 'objectifications' of the actual entities in the actual world, relative to a definite actual entity, constitute the efficient causes out of which that actual entity arises; the 'subjective aim' at 'satisfaction' constitutes the final cause, or lure, whereby there is determinate concrescence; and that attained 'satisfaction' remains as an element in the content of creative purpose. There is, in this way, transcendence of the creativity; and this transcendence effects determinate objectifications for the renewal of the process in the concrescence of actualities beyond that satisfied superject.
189. 하나의 일정한 현실적 존재와 관련한, 현실 세계의 현실적 존재들의 <객체화>는 그 현실적 존재를 생겨나게 하는 작용인이 되고 있다. <만족>을 노리는 <주체적 지향>은 목적인 내지 유혹을 이루며, 이에 의해 결정적인 합생이 있게 된다. 그리고 저 달성된 <만족>은 창조적 목적의 내용 가운데 한 요소로서 존속된다. 이런 방식으로 창조성의 초월이 있게 된다. 그리고 이 초월은 만조된 자기 초월체를 넘어서는 현실태의 합생에 있어 과정의 갱신을 위한 결정적인 객체화를 낳는다.
87. Thus an actual entity has a threefold character: (i) it has the character ‘given’ for it by the past; (ii) it has the subjective character aimed at in its process of concrescence ; (iii) it has the superjective character, which is the pragmatic value of its specific satisfaction qualifying the transcendent creativity.
In the case of the primordial casual entity, which is God, there is no past. Thus the ideal realization of conceptual feeling takes the precedence. God differs from other actual entities in the fact that Hume’s principle, of the derivate character of conceptual feelings, does not hold for him. There is still, however, the same threefold character: (i) The ‘primordial nature’ of God is the concrescence of a unity of conceptual feelings, including among their data all eternal objects into relevant lures of feelings severally appropriate for all realizable basic conditions. (ii) The ‘consequent nature’ of God is the physical prehension by God of the actualities of the evolving universe. His primordial nature directs such perspectives of objectification that each novel actuality in the temporal world contributes such elements as it can to a realization in God free from inhibitions of intensity by reason of discordance. (iii) The ‘superjective nature’ of God is the character of the pragmatic value of his specific satisfaction qualifying the transcendent creativity in the various temporal instances.
This is the conception of God, according to which he is considered as the outcome of creativity, as the foundation of order, and as the goad towards novelty. ‘Order’ and ‘novelty’ are but the instruments of his subjective aim which is the intensification of ‘formal immediacy.’ It is to be noted that every actual entity, including God, is a creature transcended by the creativity which it qualifies. A temporal occasion in respect to the second element of its character, and God in respect to the first element of his character satisfy Spinoza’s definition of substance, that it is causa sui. To be causa sui means that the process of concrescence is its own reason for the decision in respect to the qualitative clothing of feelings. It is finally responsible for the decision by which any lure for feeling is admitted to efficiency. The freedom inherent in the universe is constituted by this element self-causation.
In the subsequent discussion, ‘actual entity’ will be taken to mean a conditioned actual entity of the temporal world, unless God is expressly included in the discussion. The term ‘actual occasion’ will always exclude God from its scope.
174. Daher hat ein wirkliches Einzelwesen drei Eigenschaften: (i) es hat die Eigenschaft, die ihm durch die Vergangenheit »gegeben« ist; (ii) es hat die subjektive Eigenschaft, auf die es in seinem Konkretisierungsprozeß hinzielt ; (iii) und es hat die superjektive Eigenschaft, die der pragmatische Wert seiner spezifischen Erfüllung ist, die die transzendente Kreativität qualifiziert.
Im Falle des uranfänglichen wirklichen Einzelwesens, Gottes, gibt es keine Vergangenheit. Daher nimmt die ideale Realisierung des begrifflichen Empfindens den Vorrang ein. Gott unterscheidet sich von anderen wirklichen Einzelwesen aufgrund der Tatsache, dass Humes Prinzip der der abgeleiteten Eigenschaft begrifflicher Empfindungen für ihn nicht gilt. Dennoch bleibt es bei den drei Eigenschaften : (i) Die »Urnatur« Gottes ist die Konkretisierung einer Einheit begrifflicher Empfindungen, zu deren Daten auch alle zeitlosen Gegenstände gehören. Die Konkretisierung wird von dem subjektiven Ziel geleitet, die subjektiven Formen der Empfindungen mögen so beschaffen sein, dass sie die zeitlosen Gegenstände zu relevanten Anreizen des Empfindens werden lassen, die ohne Ausnahme allen realisierbaren Grundbedingungen angemessen sind. (ii) Die »Folgenatur« Gottes ist das physische Erfassen der Wirklichkeiten des entstehenden Universums durch Gott. Seine Urnatur dirigiert die Perspektiven der Objektivierung dergestalt, dass jede neue Wirklichkeit in der zeitlichen Welt die ihr möglichen Elemente zu einer Realisierung in Gott beiträgt, die frei ist von Verhinderungen der Intensität durch Missklang. (iii) Die »superjektive« Natur Gottes ist die Eigenschaft des pragmatischen Werts seiner spezifischen Erfüllung, die die transzendente Kreativität in den verschiedenen zeitlichen Beispielen qualifiziert.
Dies ist die Konzeption Gottes, nach der er als die Folge der Kreativität, als die Grundlage von Ordnung und als der Ansporn zum Neuen angesehen wird. »Ordnung« und »Neues« sind nur die Instrumente seines subjektiven Ziels, das in der Intensivierung »formaler Unmittelbarkeit« besteht. Anzumerken ist, dass jedes wirkliche Einzelwesen, auch Gott, um seiner selbst willen etwas Individuelles verkörpert ; und dadurch transzendiert es die übrige Wirklichkeit. Überdies ist zu beachten, dass jedes wirkliche Einzelwesen, Gott eingeschlossen, ein Gebilde ist, das von der Kreativität, die es qualifiziert, transzendiert wird. Ein zeitliches Ereignis erfüllt hinsichtlich seiner zweiten Eigenschaft – und Gott hinsichtlich seiner ersten – Spinozas Definition der Substanz, die causa sui ist. Causa sui zu sein bedeutet, dass der Konkretisierungsprozess seine eigene Grundlage für die Entscheidung, durch welche irgendein Anreiz für das Empfinden Wirksamkeit erlangen kann. Die dem Universum inhärente Freiheit beruht auf diesem Element der Selbst-Verursachung.
In der anschließenden Diskussion wird »wirkliches Einzelwesen« als ein bedingtes wirkliches Einzelwesen der zeitlichen Welt verstanden, solange nicht ausdrücklich von Gott die Rede ist. Der Terminus »wirkliches Ereignis« wird sich niemals auf Gott beziehen.
189. 따라서 현실적 존재는 다음과 같은 삼중적인 성격을 갖는다. 즉 i) 그것은 과거에 의해 그것에 <주어진> 성격을 갖는다. ii) 그것은 합생의 과정에서 지향하는 바의 주체적 성격을 갖는다. iii) 그것은 초월적인 창조성을 규정하는, 특수한 만족의 실용적 가치인 자기 초월적 성격을 갖는다.
<원초적인> 현실적 존재 – 이는 신이다 – 의 경우에는 과거가 없다. 따라서 개념적 느낌의 이상적인 실현이 선행한다. 신이 다른 현실적 존재와 다른 까닭은, 개념적 느낌의 파생적 성격에 관한 흄의 원칙이 신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사실에 있다. 그러나 거기에도 여전히 동일한 삼중적인 성격이 있다. 즉 i) 신의 <원초적 본성>은, 자신의 여건 속에 모든 영원적 객체를 포함하는 개념적 느낌의 통일적 합생이다. 이 합생은 다음과 같은 주체적 지향에 의해서 그 방향이 잡혀진다. 즉 느낌의 주체적 형식들은 영원적 객체들로부터 모든 실현 가능한 기초조건에 각기 적절한, 느낌의 관련된 여러 유혹을 구성해낼 수 있는 그런 성격의 것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ii) 신의 <결과적 본성>은 진화하고 있는 우주의 현실태에 대한 신의 물리적 파악을 말한다. 신의 원초적 본성은 객체화의 여러 전망을 제시한다. 따라서 시간적 세계 내의 새로운 현실태가 저마다 가능한 대로 제공하는 요소들은 부조화에 따르는 강도의 제한을 받지 않고 신 안에서 실현될 수 있는 것이다. iii) 신의 <자기 초월적 본성>은, 갖가지 시간적인 사례들 속에서 초월적 창조성을 규정하는 신의 특수한 만족이 가지는 실용적 가치의 성격을 말한다.
이것이 신의 개념이다. 이 개념에 따른다면 신은 창조성의 산물로, 질서의 기반으로, 그리고 새로움의 자극물로 생각된다. <질서>와 <새로움>이란 <형상적 직접성>을 강화하는, 신의 주체적 지향의 도구에 지나지 않는다. 신을 포함한 모든 현실적 존재는 그 자신을 위한 어떤 개체적인 것이며, 그렇기 때문에 그것은 그 밖의 현실태를 초월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신을 포함한 모든 현실적 존재는 그것이 한정하는 창조성에 의해 초월된 피조물이라는 점에도 주목해야 한다. 그 성격의 둘째 요소에서 본 시간적 계기와 그 성격의 첫째 요소에서 본 신은, 실체란 자기 원인이라고 하는 스피노자의 실체에 대한 정의를 충족시킨다. 자기 원인이란, 합생의 과정이, 느낌들로 이루어진 질적인 곳을 입는 것과 관련된 결단을 내림에 있어 그 자신이 그 결단의 근거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합생의 과정은 어떠한 느낌의 유혹이건 이를 유효하게 만드는 저 결단에 대하여 궁극적으로 책임이 있는 것이다. 우주에 내재하는 자유는 이러한 자기 원인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 앞으로의 논의해서 <현실적 존재>라는 말은, 신이 그 논의에 명시적으로 포함되지 않는 한, 시간적 세계의 제약된 현실적 존재를 의미하게 될 것이다. 신은 언제나 <현실적 계기>란 용어가 적용되는 영역 밖에 있게 될 것이다.
105. The primordial appetitions which jointly constitute God's purpose are seeking intensity, and not preservation. Because they are primordial, there is nothing to preserve. He, in his primordial nature, is unmoved by love for this particular, or that particular; for in this foundational process of creativity, there are no preconstituted particulars. In the foundations of his being, God is indifferent alike to preservation and to novelty. He cares not whether an immediate occasion be old or new, so far as concerns derivation from its ancestry. His aim 16 for it is depth of satisfaction as an intermediate step towards the fulfillment of his own being. His tenderness is directed towards each actual occasion, as it arises.
217. 신의 목적을 함께 구성하고 있는 여러 원초적 욕구들이 추구하는 것은 강도이지 보존이 아니다. 그런 욕구들은 원초적이기 때문에 거기에는 보존할 아무것도 없는 것이다. 신은 그 원초적 본성에 있어서, 이러저러한 특정의 것에 대한 사랑 때문에 움직이는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창조성의 이러한 근본적인 과정에는 미리 만들어진 특수한 것이 하나도없기 때문이다. 자신의 존재 기반에 있어서 신은 보존에도 새로움에도 다같이 무관심하다. 신은 직접적 계기가 – 그 계통으로부터의 유래에 관한 한 – 낡은 것이든 새로운 것이든 마음을 쓰지 않는다. 그 계기에 있어서 신이 목적하는 바는 신 자신의 존재의 성취를 향한 중간 단계로서의 만족의 깊이이다. 신은 현실적 계기가 생겨날 때마다 그것에 대하여 그의 애정을 쏟는다.
108. Each actuality is essentially bipolar, physical and mental, and the physical inheritance is essentially accompanied by a conceptual reaction partly conformed to it, and partly introductory of a$ relevant novel contrast, but always introducing emphasis, valuation, and purpose. The integration of the physical and mental side into a unity of experience is a self-formation which is a process of concrescence, and which by the principle of objective immortality characterizes the creativity which transcends it. So though mentality is non-spatial, mentality is always a reaction from, and integration with, physical experience which is spatial. It is obvious that we must not demand another mentality presiding over these other actualities (a kind of Uncle Sam, over and above all the U.S. citizens).All the life in the body is the life of the individual cells. There are thus millions upon millions of centres of life in each animal body. So what needs to be explained is not dissociation of personality but unifying control, by reason of which we not only have unified behaviour, which can be observed by others, but also consciousness of a unified experience.
222. 각 현실태는 본질적으로 물리적이며 정신적이라는 상반된 두 극을 가지고 있으며, 그 물리적 계승은 본질적으로 개념적 반작용 – 부분적으로는 그 물리적 계승에 순응하며, 또 부분적으로는 적절한 새로운 대비를 이끌어들이지만, 항상 강조, 가치, 평가, 목적을 이끌어들이는 개념적 반작용 – 을 동반한다. 물리적 정신적 측면을 경험의 통일로 통합하는 것은 합생의 과정인 자기 형성작용이며, 이 작용은 객체적 불멸성의 원리에 따라 그것을 넘어서는 창조성을 특징지워 간다. 따라서 정신성은 비공간적이긴 하지만 언제나 공간적인 물리적 경험으로부터의 반작용이며 그것과의 통합이다. 분명히 우리는 이런 현실태들을 통합하는 별개의 정신성을 요구해서는 안된다. 신체 내의 모든 생명은 개별적인 세포들의 생명이다. 따라서 각 동물 신체 속에는 수백만 개의 생명 중추가 들어 있는 것이다. 그래서 설명을 필요로 하는 점은 인격의 분열이 아니라 통합적인 제어이며, 이것에 힘입어 우리는 타인이 관찰할 수 있는 통일된 행동을 갖게 될 뿐만 아니라, 통일된 경험에 대한 의식도 갖게 되는 것이다.
164. The limitation whereby there is a perspective relegation of eternal objects to the background is the characteristic of decision. Transcendent decision includes God's decision. He is the actual entity in virtue of which the entire multiplicity of eternal objects obtains its graded relevance to each stage of concrescence. Apart from God, there could be no relevant novelty. Whatever arises in actual entities from God's decision, arises first conceptually, and is transmuted into the physical world (cf. Part III). In 'transcendent decision' there is transition from the past to the immediacy of the present; and in 'immanent decision' there is the process of acquisition of subjective form and the integration of feelings. In this process the creativity, universal throughout actuality, is characterized by the datum from the past; and it meets this dead datum universalized into a character of creativity by the vivifying novelty of subjective form selected from the multiplicity of pure potentiality. In the process, the old meets the new, and this meeting constitutes the satisfaction of an immediate particular individual.
312. 영원적 객체들을 전망에 있어 배경으로 축출하는 제한이 곧 결단의 특징이다. 초월적 결단은 신의 결단을 포함한다. 신은 현실적 존재이다. 신에 의해, 영원적 객체의 다양성 전체는 합생의 각 단계와의 등급화된 관련성을 획득하게 된다. 신이 없다면 관련성 있는 새로움이란 있을 수 없게 될 것이다. 신의 결단에 따라 현실적 존재에서 생기는 것은 무엇이든지 먼저 개념적으로 생겨나고, 이어서 물리적 세계로 변환된다. <초월적 결단>에는 과거로부터 현재의 직접성으로의 전이가 들어 있으며, <내재적 결단>에는 주체적 형식을 획득하는 과정과 느낌들의 통합이 들어 있다. 이러한 과정에 있어서 현실태를 관통하고 있는 창조성은 과거로부터의 여건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그리고 그것은 순수한 가능태의 다양성으로부터 선택된 주체적 형식의 활기찬 새로움을 통해서, 이러한 죽은 여건 – 창조성의 성격으로 보편화된 – 과 만나게 된다. 과정 속에서 낡은 것이 새로운 것과 만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만남이 직접적인 개별적 개체의 만족[의 상태]을 만들어낸다.
211. An instance of concrescence is termed an 'actual entity'-or, equivalently, an 'actual occasion.' There is not one completed set of things which are actual occasions. For the fundamental inescapable fact is the creativity in virtue of which there can be no 'many things' which are not subordinated in a concrete unity. Thus a set of all actual occasions is by the nature of things a standpoint for another concrescence which elicits a concrete unity from those many actual occasions. Thus we can never survey the actual world except from the standpoint of an immediate concrescence which is falsifying the presupposed completion. The creativity in virtue of which any relative complete actual world is, by the nature of things, the datum for a new concrescence is termed 'transition.' Thus, by reason of transition 'the actual world' is always a relative term, and refers to that basis of presupposed actual occasions which is a datum for the novel concrescence.
387. 합생의 사례는 <현실적 존재> - 혹은 이에 상당하는 말로서 <현실적 계기> - 라고 불린다. 현실적 계기인 사물들로 이루어진 하나의 완결된 집합 같은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피할 수 없는 근본적인 사실은 창조성이며, 이 창조성에 의해 구체적 통일성에 종속되지 않는 <다수의 사물들>이란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든 현실적 계기들의 집합은 사물의 본성상, 그 다수의 현실적 계기들로부터 구체적인 통일성을 이끌어내는 또 다른 합생의 한 입각점이다. 다라서 우리는 저제된 완결을 거짓된 것으로 입증해 주는 직접적 합생의 입각점을 떠나서는, 결코 현실 세계를 개관할 수 없다. 상대적인 완결적 현실 세계를 사물의 본성에 따라 새로운 합생을 위한 여건으로 만들어가는 창조성은 <이행>이라고 불린다. 따라서 <현실 세계>라는 말은 이행 때문에 언제나 상대적인 용어로서, 새로운 합생을 위한 여건인, 전제된 현실적 계기들로 이루어진 기반을 가리키고 있다.
212. In this second stage the feelings assume an emotional character by reason of this influx of conceptual feelings. But the reason why the origins are not lost in the private emotion is that there is no element in the universe capable of pure privacy. If we could obtain a complete analysis of meaning, the notion of pure privacy would be seen to be self-contradictory. Emotional feeling is still subject to the third metaphysical principle * ~ that to be 'something' is 'to have the potentiality for acquiring real unity with other entities.' Hence, 'to be a real component of an actual entity' is in some way 'to realize this potentiality.' Thus 'emotion' is 'emotional feeling'; and 'what is felt' is the presupposed vector situation. In physical science this principle takes the form which should never be lost sight of in fundamental speculation, that scalar quantities are constructs derivative from vector quantities. In more familiar language, this principle can be expressed by the statement that the notion of 'passing on' is more fundamental than that of a private individual fact. In the abstract language here adopted for metaphysical statement, "passing on' becomes 'creativity,' in the dictionary sense of the verb creare, 'to bring forth, beget, produce.' Thus, according to the third principle, no entity can be divorced from the notion of creativity. An entity is at least a particular form capable of infusing its own particularity into creativity. An actual entity, or a phase of an actual entity, is more than that; but, at least, it is that.
389. 이 두 번째 단계에서 느낌들은 개념적 느낌의 유입으로 말미암아 정서적 성격을 띄게 된다. 그러나 시원적인 것의 사적인 정서 속에서 상실되지 않는 이유는, 순수하게 사적일 수 있는 요소가 우주에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데에 있다. 만일 의미에 대한 완전한 분석에 도달할 수 있다면, 순수한 사사성이라는 관념은 자기 모순이라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다. 하지만 정서적 느낌은 여전히 제3의 형이상학적 원리, 즉 <어떤 것임>은 <다른 존재와의 실재적 통일성을 획득하기 위한 가능성을 갖고 있음>이라고 하는 원리에 따르고 있다. 따라서 <현실적 존재의 실재적인 구성 요소가 되고 있다는 것>은 어떤 방식으로든지 <이러한 가능성을 실현하고 있다는 것>을 말한다. 그렇기 때문에 <정서>는 <정서적 느낌>이며, <느껴지는 것>은 전제된 벡터적 상황이다. 물리학에서 이 원리는, <스칼라>적 양이란 <벡터>적 양에서 파생되는 구성물이라고 하는, 기본적 사색에 있어서 결코 간과되어서는 안될 형식을 취한다. 보다 일상적인 표현으로 하자면, 이 원리는 <이행>이라는 관념이 사적인 개체적 사실보다도 더 기본적이라고 하는 진술로 표현될 수 있다. 형이상학적 진술을 위해 여기에서 채택하고 있는 추상적인 말로 표현하자면, <이행>은 <창조성>이 된다. 이는 그 동사 creare의 사전적 의미에서 볼 때, <낳다>bring forth, <생기게 하나>beget, <산출하다>produce를 의미한다. 따라서 제3의 원리에 따른다면, 어떠한 존재도 창조성의 개념에서 유리될 수 없다. 존재란 적어도 그 자신의 특수성을 창조성 속으로 주입시킬 수 있는 특수한 형태이다. 현실적 존재 내지 현실적 존재가 갖는 하나의 위상은 그 이상의 것이지만, 적어도 그것은 그러한 것이다.
219. The terminal unity of operation, here called the 'satisfaction,' embodies what the actual entity is beyond itself. In Locke's phraseology, the 'powers' of the actual entity are discovered in the analysis of the satisfaction. In Descartes' phraseology, the satisfaction is the actual entity considered as analysable in respect to its existence 'objective.' It is the actual entity as a definite, determinate, settled fact, stubborn and with unavoidable consequences. The actual entity as described by the morphology of its satisfaction is the actual entity 'spatialized,' to use Bergson's term. The actual entity, thus spatialized, is a given individual fact actuated by its own 'substantial form.' Its own process, which is its own internal existence, has evaporated, worn out and satisfied; but its effects are all to be described in terms of its 'satisfaction.' The 'effects' of an actual entity are its interventions in concrescent processes other than its own. Any entity, thus intervening in processes transcending itself, is said to be functioning as an 'object.' According to the fourth category of Explanation it is the one general metaphysical character of all entities of all sorts, that they function as objects. It is this metaphysical character which constitutes the solidarity of the universe. The peculiarity of an actual entity is that it can be considered both 'objectively' and 'formally.' The 'objective' aspect is morphological so far as that actual entity is concerned: by this it is meant that the process involved is transcendent relatively to it, so that the esse of its satisfaction is sentiri. The 'formal' aspect is functional so far as that actual entity is concerned: by this it is meant that the process involved is immanent in it. But the objective consideration is pragmatic. It is the consideration of the actual entity in respect to its consequences. In the present chapter the emphasis is laid upon the formal consideration of an actual entity. But this formal consideration of one actual entity requires reference to the objective intervention of other actual entities. This objective intervention of other entities constitutes the creative character which conditions the concrescence in question. The satisfaction of each actual entity is an element in the givenness of the universe: it limits boundless, abstract possibility into the particular real potentiality from which each novel concrescence originates. The 'boundless, abstract possibility' means the creativity considered solely in reference to the possibilities of the intervention of eternal objects, and in abstraction from the objective intervention of actual entities belonging to any definite actual world, including God among the actualities abstracted from.
400. 여기서 <만족>이라고 불리는 작용의 최종적 통일성은 현실적 존재의 자기 초월을 구현한다. 록크의 용어를 빌리자면, 현실적 존재의 <힘>은 만족을 분석하는 가운데서 발견된다. 데카르트의 표현으로 말하자면, 만족은 그 <객체적> 존재와 관련하여 분석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현실적 존재이다. 그것은, 완고하고 피할 수 없는 여러 귀결을 수반하고 있는, 확정적으로 결정된, 정착된 사실로서의 현실적 존재이다. 그러한 만족을 형태론적으로 기술한 것으로서의 현실적 존재는, 베르그송의 용어를 빌린다면 <공간화된> 현실적 존재이다. 이처럼 공간화된 현실적 존재는 그 자신의 <실체적 형상>에 의해 현실화된, 주어진 개체적 사실이다. 그 자신의 내적 존재인 그 자신의 과정은 증발되었고, 닳아 없어졌으며, 만족되어 있다. 하지만 그 결과는 모두 그 만족에 의해 기술되어야 한다. 현실적 존재의 <결과>란 합생중에 있는 그 자신 이외의 과정에 그 현실적 존재가 개입하는 것을 말한다. 자기 자신을 초월하는 과정 속에 이처럼 개입하는 존재는 모두 <객체>로서 기능한다고 말한다. 설명의 제4범주에 따르면, 모든 종류의 존재가 객체로서 기능한다는 것은, 존재의 보편적인 형이상학적 성격 가운데 하나이다. 우주의 연대성을 구성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형이상학적 성격이다. 현실적 존재의 특이성은, 그것이 <객체적으로>도 고찰될 수 있고 <형상적으로>도 고찰될 수 있다는 것이다. <객체적> 측면은 그 현실적 존재에 관한 한 형태론적이다. 이 말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즉 거기에 연루되어 있는 과정은 그 현실적 존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초월해 있으며, 따라서 그 만족의 존재가 느껴지고 있다는 것이다. <형상적> 측면은 그 현실적 존재에 관한 한 기능적이다. 이 말은 거기에 포함딘 과정이고 그 현실적 존재 속에 내재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객체적 고찰은 실용주의적인 것이 된다. 그것은 현실적 존재를 그 결과와 관련하여 고찰하는 것이다. 이 장에서는 현실적 존재에 대한 형상적 고찰에 역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하나의 현실적 존재에 대한 이러한 형상적 고찰은 다른 현실적 존재들의 객체적 개입에 대한 언급을 필요로 한다. 다른 존재들의 객체적 개입은 문제의 합생을 조건지우는 창조적 성격을 구성한다. 각 현실적 존재의 만족은 우주의 소여성에 있어서의 한 요소이다. 그것은 무한한 추상적 가능성을, 하나하나의 새로운 합생을 낳는 특정한 실재적 가능태로 제한한다. <무한한 추상적 가능성>이란, 임의의 한정된 현실 세계에 속하는 현실적 존재들의 객체적 개입을 사상해 버리고 – 사상된 현실태에는 신도 포함되어 있다 – 오로지 영원적 객체들의 개입의 가능성과 관련해서만 고찰된 창조성을 의미한다.
222. The term 'subject' has been retained because in this sense it is familiar in philosophy. But it is misleading. The term 'superject' would be better. The subject-superject is the purpose of the process originating the feelings. The feelings are inseparable from the end at which they aim; and this end is the feeler. The feelings aim at the feeler, as their final cause. The feelings are what they are in order that their subject may be what it is. Then transcendently, since the subject is what it is in virtue of its feelings, it is only by means of its feelings that the subject objectively conditions the creativity transcendent beyond itself. In our own relatively high grade of human existence, this doctrine of feelings and their subject is best illustrated by our notion of moral responsibility. The subject is responsible for being what it is in virtue of its feelings. It is also derivatively responsible for the consequences of its existence because they flow from its feelings.
404. <주체>라는 용어를 폐지하지 않고 계속 사용해 온 까닭은, 그것이 이러한 의미로 철학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용어는 오해를 불러 일으키기 쉽다. <자기 초월체>라는 용어가 보다 적절할 것이다. <자기 초월적 주체>는 느낌들을 창시하는 과정의 목적이다. 느낌들은 그들이 지향하는 목표와 유리될수 없다. 이 목표는 느끼는 자feeler이다. 느낌은 그 목적인으로서의 느끼는 자를 지향한다. 느낌들이 지금의 그 느낌들인 것은 그것들의 주체가 지금의 그 주체일 수 있기 위해서이다. 그래서 주체는 자신의 느낌들로 말미암아 지금의 그것이 된 것이기 때문에, 주체는 오직 그 느낌들에 의해서만, 자신을 넘어서는 초월적인 창조성을 객체적으로 제약한다. 비교적 고도 단계의 존재인 우리 인간에게 있어서, 이러한 느낌과 주체에 대한 학설을 가장 잘 예시해 주는 것은 도덕적 책임에 대한 우리의 개념이다. 주체는 그 느낌 대문에 그것이 지금의 그것이라는 데 대하여 책임을 진다. 그것은 또 그 현존의 어려 귀결들에 대하여 파생적으로 책임을 진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그 느낌으로부터 유출되기 때문이다.
222. If the subject-predicate form of statement be taken to be metaphysically ultimate, it is then impossible to express this doctrine of feelings and their superject. It is better to say that the feelings aim ct their subject, than to say that they are aimed at their subject. For the latter mode of expression removes the subject from the scope of the feeling and assigns it to an external agency. Thus the feeling would be wrongly abstracted from its own final cause. This final cause is an inherent element in the feeling, constituting the unity of that feeling. An actual entity feels as it does feel in order to be the actual entity which it is. In this way an actual entity satisfies Spinoza's notion of substance: it is causa sui. The creativity is not an external agency with its own ulterior purposes. All actual entities share with God this characteristic of self-causation. For this reason every actual entity also shares with God the characteristic of transcending all other actual entities, including God. The universe is thus a creative advance into novelty. The alternative to this doctrine is a static morphological universe.
404. 만일 주어-술어 형식의 진술이 형이상학적으로 궁극적인 것이라고 한다면, 우리는 이 느낌들과 그것들의 자기 초월체에 대한 학설을 표현할 수 없게 될 것이다. 그 느낌은 그 주체에로 지향된다be aimed at고 말하는 것보다 그 주체를 지향한다aim at고 말하는 편이 더 적절하다. 왜냐하면 전자의 표현 양식은 주체를 느낌의 작용 범위로부터 제거하고, 그것을 외적인 작용인에 속하는 것으로 돌리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될 때 느낌은 그 자신의 목적인으로부터 잘못 추상된 것이 되고 말 것이다. 이 목적인은 느낌에 내재하는 요소로서 그 느낌의 통일성을 구성한다. 현실적 존재는 지금의 그 현실적 존재가 되기 위해서 지금과 같이 느끼고 있다. 이런 방식으로 현실적 존재는, 실체란 자기 원인이라는 스피노자의 실체 개념을 만족시킨다. 창조성은, 그 자신의 외재적 목적을 지닌 외적 작용인이 아니다. 만일 모든 현실적 존재는 이러한 자기 원인이라는 특성을 신과 공유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모든 현실적 존재는 또한, 신을 포함하여 다른 현실적 존재들을 초월한다는 특성을 신과 공유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우주는 새로움에의 창조적 전진이다. 이 학설을 떠나 달리 택할 수 있는 학설의 귀결은 정태적인 형태론적 우주이다.
224. The ground, or origin, of the concrescent process is the multiplicity of data in the universe, actual entities and eternal objects and propositions and nexus. Each new phase in the concrescence means the retreat of mere prepositional unity before the growing grasp of real unity of feeling. Each successive prepositional phase is a lure to the creation of feelings which promote its realization. Each temporal entity, in one sense, originates from its mental pole, analogously to God himself. It derives from God its basic awaiting its own decisions. This subjective aim, in its successive modifications, remains the unifying factor governing the successive phases of interplay between physical and conceptual feelings. These decisions are impossible for the nascent creature antecedently to the novelties in the phases of its concrescence. But this statement in its turn requires amplification. With this amplification the doctrine, that the primary phase of a temporal actual entity is physical, is recovered. A ‘physical feeling’ is here defined to be the feeling of another actuality. If the other actuality be objectified by its conceptual feelings, the physical feeling of the subject in question is termed ‘hybrid.’ Thus the primary phase is a hybrid physical feeling of God, in respect to God’s conceptual feeling which is immediately relevant to the universe ‘given’ for that concrescence. There is then, according to the Category of Conceptual Valuation, i.e., Categorical Obligation IV, a derived conceptual feeling which reproduces for the subject the data and valuation of God’s conceptual feeling. This conceptual feeling is the initial conceptual aim referred to in the preceding statement. In this sense, God can be termed the creator of each temporal actual entity. But the phrase is apt to be misleading by its suggestion that the ultimate creativity of the universe is to be ascribed to God’s volition. The true metaphysical position is that God is the aboriginal instance of this creativity and is therefore the aboriginal condition which qualifies its action. It is the function of actuality to characterize the creativity, and God is the eternal primordial character. But, of course, there is no meaning to ‘creativity’ apart from its ‘creatures,’ and no meaning to the ‘temporal creatures’ apart from ‘creativity’ and ‘God.’
408. 합생 과정의 근거 내지 기원은 우주 내의 다수의 여건들, 즉 현실적 존재, 영원적 객체, 명제 그리고 결합체이다. 그 합생에서의 각각의 새로운 위상은 느낌의 실재적 통일성의 지배적 증대에 따르는, 단순한 명제적 통일성의 후퇴를 의미한다. 잇따라 일어나는 각각의 명제적 위상은, 그 실현을 촉진하는 느낌의 창조를 위한 유혹이다. 어떤 의미에서 각 시간적 존재는 신 자신과 마찬가지로 그 정신적 극에서 생긴다. 그것은 신으로부터 자신의 토대를 이루는 개념적 지향 – 그 현실 세계에 관련되어 있지만 그 존재의 결단을 기다리는 미결정성을 수반한 개념적 지향 – 을 이끌어낸다. 이 주체적 지향은 그 존재의 계속되는 수정 속에서, 물리적 느낌과 개념적 느낌간의 상호 작용의 계속되는 위상들을 지배하는 통일화의 요인으로 남는다. 존재의 그러한 결단은, 그 합생의 위상에서 새로움이 생기기 이전, 발생의 초기 단계에 있는 피조물에게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진술은 그 나름대로의 부연 설명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부연 설명으로 시간적인 현실적 존재의 최초의 위상은 물리적이라는 학설이 회복된다. 여기서 <물리적 느낌>은 다른 현실태에 대한 느낌으로 정의된다. 만일 이 다른 현실태가 자신의 개념적 느낌에 의해 객체화되고 있다면, 문제되는 주체의 물리적 느낌은 <혼성적>이라고 불린다. 따라서 최초의 위상은 그 합생에 대하여 <주어진> 우주에 직접 관련되는 신의 개념적 느낌을 통한, 신에 대한 혼성적인 물리적 느낌이다. 이로부터 개념적 평가의 범주, 즉 범주적 제약 IV에 따라, 그 주체에 있어서 신의 개념적 느낌의 여건과 평가를 재현하는 파생된 개념적 느낌이 있게 된다. 이러한 개념적 느낌이 앞의 진술에서 언급한 최초의 개념적 지향이다. 이런 의미에서 신은 각각의 시간적인 현실적 존재의 창조자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표현은, 우주의 궁극적 창조성이 신의 의지에 돌려져야 한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오해를 불러일으킬 소지가 있다.
410. Der Grund oder Ursprung des Konkretisierungsprozesses liegt in der Vielheit on Daten des Universums – wirkliche einzelwesen, zeitlose Gegenstände, Aussagen und Nexus. Jede neue Phase in der Konkretisierung bedeutet den Rückzug bloß aussageartiger Einheit vor dem wachsenden Zugriff der realen Einheit des Empfindens. Jede folgende aussageartige Phase ist ein Anreiz für die Erzeugung von Empfindungen, die deren Realisierung fördern. Jedes zeitliche Einzelwesen geht in einem Sinne, analog zu Gott selbst, aus seinem geistigen Pol hervor. Es leitet von Gott sein grundlegendes begriffliches Ziel ab, das für seine wirkliche Welt relevant ist, jedoch noch Unbestimmtheiten enthält, dies seiner eigenen Entscheidung bedürfen. Dieses subjektive Ziel bleibt in seinen folgenden Modifikationen der vereinigende Faktor, der die späteren Phasen des Wechselspiels zwischen physischen und begrifflichen Empfindungen beherrscht. Diese Entscheidungen sind für das werdende Gebilde, das den Neuheiten in seinen Konkretisierungsphasen vorausgeht, unmöglich. Aber diese Behauptung muss ihrerseits erläutert werden. Mit dieser Erläuterung wird die Lehre wieder in Kraft gesetzt, dass die primäre Phase eines zeitlichen wirklichen Einzelwesens physisch ist.
Ein »physisches Empfinden« wird hier als das Empfinden einer anderen Wirklichkeit definiert. Wenn die andere Wirklichkeit durch ihre begrifflichen Empfindungen objektiviert wird, bezeichnet man das physische empfinden des betroffenen Subjekts als »hybrid«. Daher ist die primäre Phase ein hybrides physisches Empfinden von Gott, mit Bezug auf Gottes begriffliches empfinden, das unmittelbar relevant ist für das Universum, das dieser Konkretisierung »gegeben« ist.
237. The limitation, whereby the actual entities felt are severally reduced to the perspective of one of their own feelings, is imposed by the categoreal condition of subjective Unity, requiring a harmonious compatibility in the feelings of each incomplete phase. Thus the negative prehensions, involved in the production of any one feeling, are not independent of the other feelings. The subjective forms of feelings depend in part on the negative prehensions. This primary phase of simple physical feelings constitutes the machinery by reason of which the creativity transcends the world already actual, and yet remains conditioned by that actual world in its new impersonation.
429. 느껴진 현실적 존재들을 그들 자신의 어느 한 느낌에 대한 전망으로 각기 환원시키는 제한을 부과하는것은, 미완의 각 위상에 속한 느낌들에 있어 조화로운 양립 가능성을 요구하는 주체적 통일성의 범주적 조건이다. 다라서 임의의 한 느낌을 산출하는 데에 포함되어 있는 부정적 파악은 다른 느낌들로부터 독립해 있지 않다. 느낌의 주체적 형식은 부분적으로는 부정적 파악에 의존하고 있다. 단순한 물리적 느낌의 이 최초 위상은 창조성으로 하여금 기존의 현실 세계를 초월할 수 있게 하는 수단적 장치가 되고 있지만, 그러면서도 그것은 여전히 새롭게 체현되는 그 현실세계에 의해 제약되어 있다.
244. ACCORDING to the ontological principle there is nothing which floats into the world from nowhere. Everything in the actual world is referable to some actual entity. It is either transmitted from an actual entity in the past, or belongs to the subjective aim of the actual entity to whose concrescence it belongs. This subjective aim is both an example and a limitation of the ontological principle. It is an example, in that the principle is here applied to the immediacy of concrescent fact. The subject completes itself during the process of concrescence by a self-criticism of its own incomplete phases. In another sense the subjective aim limits the ontological principle by its own autonomy. But the initial stage of its aim is an endowment which the subject inherits from the inevitable ordering of things, conceptually realized in the nature of God. The immediacy of the concrescent subject is constituted by its living aim at its own self-constitution. Thus the initial stage of the aim is rooted in the nature of God, and its completion depends on the self-causation of the subject-superject. This function of God is analogous to the remorseless working of things in Greek and in Buddhist thought. The initial aim is the best for that impasse. But if the best be bad, then the ruthlessness of God can be personified as Ate, the goddess of mischief. The chaff is burnt. What is inexorable in God, is valuation as an aim towards 'order'; and 'order' means 'society permissive of actualities with patterned intensity of feeling arising from adjusted contrasts. In this sense God is the principle of concretion; namely, he is that actual entity from which each temporal concrescence receives that initial aim from which its self-causation starts. That aim determines the initial gradations of relevance of eternal objects for conceptual feeling; and constitutes the autonomous subject in its primary phase of feelings with its initial conceptual valuations, and with its initial physical purposes. Thus the transition of the creativity from an actual world to the correlate novel concrescence is conditioned by the relevance of God's all-embracing conceptual valuations to the particular possibilities of transmission from the actual world, and by its relevance to the various possibilities of initial subjective form available for the initial feelings. In this way there is constituted the concrescent subject in its primary phase with its dipolar constitution, physical and mental, indissoluble.
440. 존재론적 원리에 따르면 알지 못하는 곳으로부터 세계 속으로 유입되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현실 세계에 있는 것은 무엇이나 어떤 현실적 존재와 관련을 가질 수 있다. 그것은 과거의 현실적 존재로부터 전달된 것이든가, 아니면 그것이 속해 있는 합생중에 있는 현실적 존재의 주체적 지향에 속하는 것이다. 이 주체적 지향은 존재론적 원리의 사례인 동시에 그것에 대한 제한이다. 그것이 하나의 사례가 되는 까닭은 이 경우 존재론적 원리가 합생하는 사실의 직접태에 적용된다는 점에 있다. 주체는 그 자신의 미완의 위상에 대한 자기 비판에 의해 합생의 과정에서 스스로를 완결짓는다. 또 다른 의미에서 그 주체적 지향은 그 자신의 자율성에 의해 존재론적 원리를 제한한다. 그러나 주체적 지향의 최초의 단계는 신의 본성 속에서 개념적으로 실현된, 사물들의 불가피한 질서로부터 그 주체가 계승한 기본 재산이다. 합생하는 주체의 직접태는 그 주체 자신의 자기 구성을 생생하게 지향함으로써 성립되고 있다. 따라서 그 지향의 최초의 단계는 신의 본성에 뿌리를 내리고 있으며, 그 지향의 완결은 자기 초월적 주체의 자기 원인 작용에 의존하고 있다. 신의 이러한 기능은 그리스 사상이나 불교 사상에 나타나 있는 사물들의 냉혹한 작용과 유사하다. 최초의 지향은 그 막다른 골목에 있어 최선의 것이다. 그러나 만일 그 최선의 것이 악이 될 경우, 신의 잔인성은 재해의 여신 아테Ate로 의인화될 수 있다. 쭉정이는 불 속에 던져진다. 신이 행하ㅡㄴ 냉혹한 작용은 <질서>를 향한 지향으로서의 가치평가이다. 그리고 <질서>란, 조정된 대비에서 생긴 패턴화된 강도의 느낌을 수반한 현실태를 허용하는 <사회>를 의미한다. 이런 의미에서 신은 구체화의 원리이다. 즉 신은 각각의 시간적 합생에 그 자기 원인 작용의 출발점이 되는 최초의 지향을 부여하는 그런 현실적 존재인 것이다. 그 최초의 지향은 개념적 느낌을 위한 영원적 객체들의 최초의 여러 계층화된 관련을 결정한다. 그리고 그것은, 그 최초의 가치평가 및 최초의 물리적 목적을 수반하고서 그 느낌의 최초적 위상에 있는 그런 자율적 주체를 구성한다. 따라서 현실 세계로부터 그 세계와 상관적인 새로운 합생으로의 창조성의 이행을 조건짓는 것은 신의 전 포괄적인 개념적 가치평가와, 현실 세계로부터 전달되는 특정한 가능태들과의 관련성 및 이 현실 세계와 최초의 느낌에 있어 이용될 수 있는 최초의 주체적 형식의 여러 가능태들과의 관련성이다. 이렇게 해서 물리적인 것과 정신적인 것의 분리 불가능한 양극적 구조를 가지고 있는 그 최초의 위상에 있어서의 합생하는 주체가 구성되기에 이른다.
245. If we prefer the phraseology, we can say that God and the actual world jointly constitute the character of the creativity for the initial phase of the novel concrescence. The subject, thus constituted, is the autonomous n}aster of its own concrescence into subject-superject. It passes from a subjective aim in concrescence into a superject with objective immortality. At any stage it is subject-superject. According to this explanation, self-determination is always imaginative in its origin. The deterministic efficient causation is the inflow of the actual world in its own proper character of its own feelings, with their own intensive strength, felt and re-enacted by the novel concrescent subject. But this re-enaction has a mere character of conformation to pattern. The subjective valuation is the work of novel conceptual feeling; and in proportion to its importance, acquired in complex processes of integration and reintegration, this autonomous conceptual element modifies the subjective forms throughout the whole range of feeling in that concrescence and thereby guides the integrations.
441. 괜찮다면우리는 이를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신과 현실세계는 공동으로, 새로운 합생의 최초의 위상을 위한 창조성의 성격을 구성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주체는 그 자신을 직접 합생하여 자기 초월체로 나아가는 자율적인 주인이다. 그것은 합생에 있어서 주체적 지향으로부터 객체적 불멸성을 지니는 자기 초월체로 이행해 간다. 그것은 어느 단계에서나 자기 초월적 주체이다. 이 설명에 따른다면, 자기 결정은 그 기원에 있어 항상 상상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결정론적인 작용인은 현실 세계가 그 자신의 느낌들 – 새로운 합생 주체에 의해 느껴지고 재연되는, 그들 자신의 강도를 수반하고 있는 그런 느낌들 – 에서 오는 그 자신의 고유한 성격에 있어서 유입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이 재연은 패턴의 순응이라는 단순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주체저 가치 평가는 새로운 개념적 느낌의 작용이다. 그리고 통합과 재통합의 복잡한 여러 과정에서 획득되는 그 주요성에 따라, 이 자율적인 개념적 요소는 그 합생에 있어서 느낌의 범위 전체에 걸쳐 주체적 형식들을 수정하며, 이를 통해서 통합을 이끌어간다.
276. The chain of stages in which a physical purpose originates is simpler than in the case of intellectual feelings: (i) there is a physical feeling; (ii) the primary conceptual correlate of the physical feeling is generated, according to categoreal condition Iv; (iii) this physical feeling is integrated with its conceptual correlate to form the physical purpose. Such physical purposes are called physical purposes of the first species. In such a physical purpose, the datum is the generic contrast between the nexus, felt in the physical feeling, and the eternal object valued in the conceptual feeling. This eternal object is also exemplified as the pattern of the nexus. Thus the conceptual valuation now closes in upon the feeling of the nexus as it stands in the generic contrast, exemplifying the valued eternal object. This valuation accorded to the physical feeling endows the transcendent creativity with the character of adversion, or of aversion. The character of adversion secures the reproduction of the physical feeling, as one element in the objectification of the subject beyond itself. Such reproduction may be thwarted by incompatible objectification derived from other feelings. But a physical feeling, whose valuation produces adversion, is thereby an element with some force of persistence into the future beyond its own subject. It is felt and re-enacted down a route of occasions forming an enduring object. Finally this chain of transmission meets with incompatibilities, and is attenuated, or modified, or eliminated from further endurance.
489. 물리적 목적이 생기는 일련의 단계들은 지성적 느낌의 경우보다 단순하다. 즉 i) 물리적 느낌이 있다. ii) 물리적 느낌의 일차적인 개념적 상관자가 범주적조건 IV에 따라 산출된다. iii) 이 물리적 느낌은 그 개념적 상관자와 통합되어 물리적 목적을 형성한다. 이러한 물리적 목적은 제1종의 물리적 목적이라고 불린다.
이러한 물리적 목적에 있어 여건은, 물리적 느낌에서 느껴진 결합체와 개념적 느낌에서 평가된 영원적 객체간의 유적 대비이다. 이 영원적 객체는 또한 결합체의 패턴으로서 에증되어 있다. 그래서 이제 개념적 가치 평가는, 평가된 영원적 객체를 예증하면서 유적 대비 속에 있는 것으로서의 결합체에 대한 느낌 위에 밀려든다. 이 물리적 느낌에 부여되는 가치평가는 초월적인 창조성에다 역작용이나 혐오의 성격을 제공한다. 역작용의 성격은 자신을 넘어서는 주체의 객체화에 있어서의 한 요소로서 물리적 느낌을 재생시킨다. 그러한 재생은 다른 느낌으로부터 파생되는 양립 불가능한 객체화에 의해 좌절될 수도 있다. 그러나 그 가치 평가가 역작용을 낳게 되는 물리적 느낌은 이때에 그 자신의 주체를 넘어서서 미래에로 영속해 가는 어떤 힘을 갖는 요소가 된다. 그것은 존속하는 객체를 형성하고 있는 계기들의 결로를 따라 느껴지고 재연된다. 최종적으로 이 일련의 전달은 여러 양립 불가능한 것과 만나서, 약화되거나, 변형되거나 더 이상 지속될 수 없게 된다.
277. When there is aversion, instead of adversion, the transcendent creativity assumes the character that it inhibits, or attenuates, the objectification of that subject in the guise of that feeling. Thus aversion tends to eliminate one possibility by which the subject may itself be objectified in the future. Thus adversions promote stability; and aversions promote change without any indication of the sort of change. In itself an aversion promotes the elimination of content, and the lapse into triviality.
490. 역작용 대신 혐오가 있는 경우, 초월적 창조성은 그 느낌을 구실로 하여 그 주체의 객체화를 억제하거나 약화시키는 성격을 띤다. 그래서 혐오는 주체가 미래에 있어서 스스로 객체화될지도 모르는 하나의 가능성을 제거시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역작용은 안정성을 조장하고, 혐오는 변화의 종류에 대한 아무런 지침도 없이 변화를 조장한다. 혐오는 그 본질에 있어, 내용의 배제와 사소성으로의 전이를 조장한다.
277. The bare character of mere responsive re-enaction constituting the original physical feeling in its first phase is enriched in the second phase by the valuation accruing from integration with the conceptual correlate. In this way, the dipolar character of concrescent experience provides in the physical pole for the objective side of experience, derivative from an external actual world, and provides in the mental pole for the subjective side of experience, derivative from the subjective conceptual valuations correlate to the physical feelings. The mental operations have a double office. They achieve, in the immediate subject, the subjective aim of that subject as to the satisfaction to be obtained from its own initial data. In this way the decision derived from the actual world, which is the efficient cause, is completed by the decision embodied in the subjective aim, which is the final cause. Secondly, the physical purposes of a subject by their valuations determine the relative efficiency of the various feelings to enter into the objectifications of that subject in the creative advance beyond itself. In this function. the mental operations determine their subject in its character of an efficient cause. Thus the mental pole is the link whereby the creativity is endowed with the double character of final causation, and efficient causation. The mental pole is constituted by the decisions in virtue of which matters of fact enter into the character of the creativity. It has no necessary connection with consciousness; though, where there is origination of intellectual feelings, consciousness does in fact enter into the subjective forms.
490. 그 최초의 위상에 있어서의 최초의 물리적 느낌을 구성하고 있는 순전한 호응적인 재연의 단순한 성격은 제2의 위상에 있어, 개념적 상관자와의 통합에서 생기는 가치 평가에 의해서 풍부해진다. 이렇게 해서 합생중에 있는 경험의 양극적 성격은, 그 물리적 극에 있어서는 외적 현실계로부터 파생되는 경험의 객체적 측면에 이바지하고, 정신적 극에 있어서는 물리적 느낌들에 연관된 주체적인 개념적 가치평가로부터 파생되는 경험의 주체적 측면에 이바지한다. 정신적 작용들은 이중의 임무를 갖는다. 그것들은 직접적 주체 속에서, 그 주체의 최초의 여건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만족과 관련하여 그 주체의 주체적 지향을 획득한다. 이렇게 해서 작용인인 현실 세계로부터 파생되는 경험의 객체적 측면에 이바지하고, 정신적 극에 있어서는 물리적 느낌들에 연관된 주체적인 개념적 가치평가로부터 파생되는 경험의 주체적 측면에 이바지한다. 정신적 작용들은 이중의 임무를 갖는다. 그것들은 직접적 주체 속에서, 그 주체의 최초의 여건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만족과 관련하여 그 주체의 주체적 지향을 획득한다. 이렇게 해서 작용인이 현실 세계로부터 파생된 결단은, 목적인인 주체적 지향 속에서 구현된 결단에 의해 완결된다. 다음으로 어떤 주체의 물리적 목적은 그 가치 평가에 의해서, 스스로를 초월하는 창조적 전진에 있어서의 그 주체의 객체화 속으로 들어가는 여러 느낌들의 상대적 효과를 결정한다. 이 기능 가운데서 정신적 작용은 그 주체를 작용인의 성격으로 결정한다. 따라서 정신적 극은 창조성에 목적인과 작용인이라는 두 가지 성격을 부여하는 고리라고 할 수 있다. 정신적 극은 사태를 창조성 속으로 몰고가는 여러 결단으로 이루어진다. 그것은 의식과 아무런 필연적인 연관도 없다. 비록 지성적 느낌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의식이 주체적 형식 속으로 실제로 개입해 들어가기는 하지만.
279. When this reverted conceptual feeling acquires a relatively high intensity of upward valuation in its subjective form, the resulting integration of physical feeling, primary conceptual feeling, and secondary conceptual feeling, produces a more complex physical purpose than in the former case when the reverted conceptual feeling was negligible. There is now the physical feeling as valued by its integration with the primary conceptual feeling, the integration with the contrasted secondary conceptual feeling, the heightening of the scale of subjective intensity by the introduction of conceptual contrast, and the concentration of this heightened intensity upon the reverted [426] feeling in virtue of its being the novel factor introducing the contrast. The physical purpose thus provides the creativity with a complex character, which is governed (i) by the Category of Conceptual Reversion, in virtue of which the secondary conceptual feeling arises, (ii) by the Category of Transmutation, in virtue of which conceptual feeling can be transmitted as physical feeling, (iii) by the Category of Subjective Harmony, in virtue of which the subjective forms of the two conceptual feelings are adjusted to procure the subjective aim, and (iv) by the Category of Subjective Intensity, in virtue of which the aim is determined to the attainment of balanced intensity from feelings integrated in virtue of near-identity, and contrasted in virtue of reversions.
493. 이 역전된 느낌이 그 주체적 형식에 있어 비교적 고도의 상향적인 가치 평가의 강도를 획득하게 될 때, 그로부터 귀결되는 물리적 느낌과 최초의 개념적 느낌과 이차적인 개념적 느낌과의 통합은, 역전된 개념적 느낌이 무시될 수 있었던 전자의 경우세서보다도 더 복합적인 물리적 목적을 산출한다.그래서 이제 최초의 개념적 느낌과의 통합에 의해 가치 평가된 것으로서의 물리적 느낌, 대비된 이차적인 개념적 느낌과의 통합, 개념적 대비의 도입에 의한 주체적 강도의 등급의 상승, 그리고 역전된 느낌이 이 대비를 도입하는 새로운 요인이기 때문에 이루어지는, 이 역전된 느낌에의 이러한 상승된 강도의 집중이 있게 된다. 따라서 물리적 목적은 창조성에다 복합적인 성격을 부여한다. 이러한 복합적 성격은 다음과 같은 것들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즉 그것은 i) 개념적 역전의 범주 – 이를 통해서 이차적인 개념적 느낌이 생겨난다 – 에 의해 그 두 개념적 느낌의 주체적 형식들이 주체적 지향을 조달하도록 조정된다 – 에 의해, ii) 변환의 범주 – 이를 통해 개념적 느낌은 물리적 느낌으로서 전달될 수 있다 – 에 의해, iii) 주체적 조화의 범주 – 이를 통해 그 두 개념적 느낌의 주체적 형식들이 주체적 지향을 조달하도록 조정된다 – 에 의해, 그리고 iv) 주체적 강도의 범주 – 이를 통해 그 지향은, 가까운 동일성에 ㅡ이해 통합되고 또 역전에 의해 대비된 느낌들로부터 균형 잡힌 강도를 달성하도록 결정된다 – 에 의해 지배되고 있는 것이다.
280. These two principles are derived from the doctrine that an actual fact is a fact of aesthetic experience. All aesthetic experience is feeling arising out of the realization of contrast under identity. In the expansion of this account which has been given here, a third principle has been added, that new forms enter into positive realizations first as conceptual experience, and are then transmuted into physical experience. But conceptual experience does not in itself involve consciousness; its essence is valuation. Between physical purposes and the conscious purposes introduced by the intellectual feelings there lie the propositional feelings which have not acquired consciousness in their subjective forms by association with intellectual feelings. Such propositional feelings mark a stage of existence intermediate between the purely physical stage and the stage of conscious intellectual operations. The propositions are lures for feelings, and give to feelings a definiteness of enjoyment and purpose which is absent in the blank evaluation of physical feeling into physical purpose. In this blank evaluation we have merely the determination of the comparative creative efficacies of the component feelings of actual entities. In a propositional feeling there is the 'hold up' or, in its original sense, the epoch of the valuation of the predicative pattern in its relevance to the definite logical subjects which are otherwise felt as definite elements in experience. There is the arrest of the emotional pattern round this sheer fact .as a possibility, with the corresponding gain in distinctness of its relevance to the future. The particular possibility for the transcendent creativity in the sense of its advance from subject to subject this particular possibility has been picked out, held up, and clothed with emotion. The stage of existence in which propositional feelings are important, apart from intellectual feelings, may be identified with Bergson's stage of pure and instinctive intuition. There are thus three stages, the stage of pure physical purpose, the stage of pure instinctive intuition, and the stage of intellectual feelings. But these stages are not sharply distinguished. There are stages in which there are propositional feelings with every degree of importance or of unimportance; there are stages in which there are intellectual feelings with every degree of importance or of unimportance. Also, even in a higher stage, there are whole recesses of feeling which in the final satisfaction acquire merely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own proper stage, physical or propositional.
494. 이 두 원리는 현실적 사실이란 미적 경험의 사실이라는 학설에서 도출된 것이다. 모든 미적 경험은 동일성 아래에서의 대비의 실현으로부터 생겨나는 느낌이다.
여기에서 이루어진 설명을 부연하는 가운데 제3의 원리, 즉 새로운 형상은 우선 개념적 경험으로서 긍정적으로 실현되고, 이어서 물리적 경험으로 변환된다는 원리가 부가되었다. 그러나 개념적 경험은 그 본질에 있어 의식을 포함하지 않는다. 그 본질은 가치평가이다.
물리적 목적과 지성적 느낌에 의해 도입된 의식적 목적 사이에는, 지성적 느낌과의 연합에 의해 그 주체적 형식에 있어 의식을 획득하지 못하고 있는 명제적 느낌이 있다. 이러한 명제적 느낌은 순수한 물리적 단게와 의식적인 지성적 작용의 단계 사이에 잇는 중간적인 존재자의 단계를 나타내고 있다. 명제는느낌에의 유혹으로서, 물리적 느낌을 물리적 목적으로 가감 없이 그대로 평가한다는 데에는 결여되고 있는 향유와 목적의 한정성을 느낌에다 부여한다. 이와 같은 가감 없는 평가에서는 단지 현실적 존재를 구성하고 있는 느낌들의 비교적인 창조적 효과에 대한 결정이 있을 따름이다. 명제적 느낌에는 경험의 특정한 요소로서 달리 느껴지기도 하는특정의 논리적 주어와 관련하여, 술어적 패턴에 대한 평가의 <중지>hold up – 또는 그 말의 본래의 의미로 하자면 <정지>epoch – 가 있게 된다. 가능태로서의 이러한 단적인 사실의 주변에는 정서적 패턴이 얽매여 있는데, 이 가능태는 자신과 미래와의 관련의 판명성에 있어 그에 상응하는 이접을 동반하고 있다. 주체로부터 주체로의 진전이라는 의미의 이 초월적 창조성을 위한 개별적인 가능태는, 포섭되고, 지지되고, 정서로 뒤덮혀 왔다. 명제적 느낌이 중요하게 되는 존재자의 단계는 지성적 느낌을 별문제로 한다면, 베르그송이 말하는 순수하고 본능적인 직관의 단계와 동일시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순수한 물리적 목적의 단계, 순수한 본능적 직관의 단계, 지성적 느낌의 단계라는 세 가지 단계가 있는 셈이다. 그러나 이 단계들이 뚜렷이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중요성 내지 비중요성에서 조금씩 그 정도를 달리하는 명제적 느낌들이 들어 있는 여러 단계들이 있다. 또 중요성 내지 비중요성에서 조금씩 그 정도를 달리하는 지성적 느낌들이 들어 있는 여러 단계들이 있다. 그리고보다 고차적인 단계에 있어서조차도 최종적인 만족에서, 물리적이며 명제적이건간에 그 자신의 고유한 단계의 특질만을 획득할 뿐인 느낌의 전면적인 휴식이 있다.
344. Thus, when we make a distinction of reason, and consider God in the abstraction of a primordial actuality, we must ascribe to him neither fullness of feeling, nor consciousness: He is the unconditioned actuality of conceptual feeling at the base of things; so that, by reason of this primordial actuality, there is an order in the relevance of eternal objects to the process of creation. His unity of conceptual operations is a free creative act, untrammeled by reference to any particular course of things. It is deflected neither by love, nor by hatred, for what in fact comes to pass. The particularities of the actual world presuppose it; while it merely presupposes the general metaphysical character of creative advance, of which it is the primordial exemplification. The primordial nature of God is the acquirement by creativity of a primordial character.
591. 따라서 우리가 이성으로 구별하고 신을 원초적 현실태의 추상에서 고찰할 때, 우리는 느낌의 충만성이나 의식을 신에게 귀속시켜서는 안 된다. 신은 사물의 바탕에 있는 개념적 느낌의 무제약적 현실태이다. 그래서 이 원초적인 현실태 때문에 창조의 과정에 대한 영원적 객체의 관련에는 질서가 있게 되는 것이다. 신의 개념적 작용의 통일성은 어떠한 특수 사레와의 관련에의해서도 구속받지 않는 자유로운 창조적 행위이다. 그것은 실제로 일어나는 것에 대한 사랑이나 증오에 의해서 왜곡되지 않는다. 현실세계의 온갖 특수성은 신의 통일성을 전제로 하고 있다. 한편 신의 통일성은 다만 창조적 전진이라는 일반적인 형이상학적 성격 – 신의 통일성은 이것의 원초적 예증이다 – 을 전제로 하고 있을 뿐이다. 신의 원초적은 창조성에 의해 획득되는 원초적 성격이다.
348. God and the world are the contrasted opposites in terms of which creativity achieves its supreme task of transforming disjoined multiplicity, with its diversities in opposition, into concrescent unity, with its diversities in contrast. In each actuality there are two concrescent poles of realization 'enjoyment' and 'appetition,' that is, the 'physical' and the 'conceptual.' For God the conceptual is prior to the physical, for the world the physical poles are prior to the conceptual poles.
598. 신과 세계는대비된 대립자이며, 이 대랍자에 의해서 창조성은 대립속에 다양성을 갖는 이접적인 다수성을, 대비속에 다양성을 갖는 합생적 통일로 변형시키는 그 최상의 임무를 수행한다. 각 현실태에는, 실현의 합생하는 두 극 - <향유>와 <욕구>, 즉 <물리적인 것>과 <개념적인 것> - 이 있다. 신에게 있어서는 개념적인 것이 물리적인 것보다 우선하며, 세계에 있어서는 물리적인 극이 개념적인 극보다 우선한다.
전철의 신학동네 | http://theology.co.kr
|